경제·금융 은행

[서울경제TV] 브레이크 없는 가계대출… 6대 은행만 3조 늘어

비수도권 소득심사 강화 앞두고 4월 주담대 급증

대책 제외된 집단대출, 가계부채 증가 원인

1~2월 집단대출 1조4,000억… 지난해 3배

정부 “가계부채 질 개선에 초점”… 효과 의문

[앵커]

지난 2월부터 금융당국의 대출규제가 시행됐지만, 집단대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은 여전히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는 이미 지난해 말 1,200조를 넘어섰는데요. 정부 정책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의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훈규 기자 입니다.

[기자]

지난달 6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3조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올들어 월별 증가액으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지난 2월 수도권부터 시작된 정부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시행 후 줄어드는 듯 했던 주택담보대출이 다시 급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한 것은 이달부터 비수도권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시행돼, 소득심사가 깐깐해지기 전에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지방 대출자들이 많았던 영향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관련기사



정부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에서 집단대출을 제외해, 제대로 된 억제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실제 가이드라인이 시행된 2월까지 집단대출 증가액은 1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보다 3배 가까이 많았습니다.

반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말 8,200호에서 2월 5,000호로 크게 줄었습니다.

집단대출이 가계대출 억제 효과를 상쇄한 셈입니다.

처음부터 원금을 갚아 나가도록 한 정부 정책은 가계부채 양보다 질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고 하지만, 이마저도 효과에 의문이 남습니다.

시중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돈을 빌리기 위해 저축은행을 찾는 발길은 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는 지난해부터 정부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경고음은 여전히 커져만 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