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Q: 햇볕을 쬐면 왜 피부색은 진해지고, 모발의 색은 옅어지나?

초간단 답변: 피부는 자기방어기제가 있지만 머리카락은 없다.



햇빛의 자외선은 피부와 모발을 손상시킨다. 그래서 둘 모두 착색된 폴리머, 즉 멜라닌 색소를 사용해 자신을 방어한다. 멜라닌이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연약한 DNA에 자외선이 직접 닿지 못하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다.

하지만 멜라닌은 시간이 지날수록 분해돼 없어진다. 자외선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색소를 잃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햇빛을 많이 받은 모발은 노랗게 변하거나 탈색된다. 이런 손상 상태는 신선한 멜라닌을 보유한 새 모발이 자라나 기존 모발을 대체할 때까지 계속된다. 모발세포는 지질(lipid)과 수분, 색소, 구조단백질로만 이뤄진 죽은 세포여서 멜라닌이라는 방어막이 무너지면 자외선 대응능력도 함께 상실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반면 피부세포는 살아 있다. 스스로 자외선에 반응하고, 적응한다. 실제로 피부에 햇빛이 닿으면 인체는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MSH)’을 신속히 분비한다. 그렇게 멜라닌의 양을 증가시켜 보호효과를 높인다.

관련기사



이때 표피의 아래쪽에 있던 멜라닌들이 표피의 위쪽, 즉 피부 쪽으로 확산될수록 색이 진해진다. 장시간 햇빛을 받으면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이른바 선탠이 이뤄지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피부의 방어기제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오랜 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피부세포의 DNA가 손상돼 피부암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그러니 두발에는 원하는 만큼 햇볕을 쪼이더라도 피부에는 꼭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기를 권고한다.

MSH -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

Daniel Engber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