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시, 국립한국문학관 등 국가기관 유치 본격화

인천시가 국립한국문학관 등 국가기관을 유치하는 작업을 본격화한다.

인천시는 강화문화재연구소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인천 이전, 국립한국문학관과 국립 글로벌 기후환경과학관 등의 인천 유치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이와 함께 십 수년째 국립해양과학관의 인천 유치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시가 이들 국립시설 유치에 도전장을 낸 이유는 ‘인천’만의 고유한 역사성 때문이다.

강화문화재연구소는 인천만이 갖고 있는 역사성에서 출발했다. 전국에 신라·백제·가야 등 시대별 역사문화를 연구하는 국립문화재 연구소 5곳이 있지만 정작 선사·고려 역사를 연구하는 기관은 한 곳도 없다. 인천시가 재원을 들여 만든 ‘강화고려역사재단’이 있지만 기관 효율성을 위해 최근 통·폐합 대상에 올라있다.

인천시가 이처럼 국립기관들의 인천 이전에 힘을 쏟고 있는 이유는 문화 불모지로 낙인 찍힌 인천을 탈바꿈시키기 위한 것이다. 대표적인 시설이 한국예술종합학교다.


300만 인구 보유 시기를 목전에 두고 있지만 국립문화시설이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은 정부의 ‘인천 홀대론’이 불거지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관련기사



2015년 문화시설 총람에 따르면 전국 57개 국립문화시설 중 서울에 25곳이 몰려 있고 경기·충남 각 5곳, 부산 2곳 등이 분포돼 있다. 하지만 인천에는 ‘국가’를 위해 ‘인천’을 희생시킨 수도권매립지, 송도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 화력발전소 5곳 등이 집중 배치돼 있다.

시는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송도국제도시에 유치해 취약한 문화예술인력을 양성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가 유치전을 벌이고 있는 국립한국문학관도 ‘문화 인천’의 한 축이다.

이 밖에 국립 글로벌 기후환경과학관 건립을 위해 정부에 국비를 요청하기도 했다. 녹색기후기금(GCF)을 품고 있는 인천이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 등 세계의 ‘녹색 수도’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필수시설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시민 서명전을 벌이며 노력 중인 국립해양박물관 설립도 염원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국립시설을 유치하면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