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2015년 남북 교역·인도적 지원 '순탄'

통일부, 2015년 남북관계 정리한 '2016통일백서' 발간

남북교류 2014년보다 활성화

지난 3월 경기도 파주시 통일대교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 협력기업 임직원 및 가족들이 개성공단 재가동을 촉구하는 집회에 나선 모습. /연합뉴스지난 3월 경기도 파주시 통일대교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 협력기업 임직원 및 가족들이 개성공단 재가동을 촉구하는 집회에 나선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남북간 교역이 2014년보다 15.9% 증가했고 민간 분야 인도적 지원은 30% 늘어나는 등 수치상으로는 순탄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된다.

통일부가 12일 펴낸 ‘2016 통일백서’에 따르면 2010년 천안함 피격사건을 계기로 취해진 ‘5·24 조치’의 지속에도 개성공단 관련 교역액의 증가에 힘입어 남북교역 규모는 2014년 23억4,264만 달러에서 지난해 27억1,448만 달러로 15.9% 증가했다. 개성공단 관련 교역은 남북교역 전체의 99.6%를 차지했다.


남북교역 품목은 전기·전자제품(39.4%), 섬유류(33.7%), 생활용품(9.7%) 등의 순으로 많았다.

관련기사



지난해는 광복 70년을 맞아 민간교류 관련 방북 건수가 2014년 55건에서 99건으로, 방북 인원도 552명에서 1,963명으로 각각 늘었다.

통일부는 정치, 군사 분야보다 협력하기 쉽고 생활과 밀착된 민생, 문화, 환경 분야의 ‘3대 통로’를 중심으로 민간교류가 이뤄져 방북 건수는 2배 가까이, 방북 인원은 3배 이상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분야도 문화, 종교, 체육, 인도지원, 개발협력 등으로 다양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대북 인도적 지원 총 규모는 실제 반출액을 기준으로 2014년 195억원에서 지난해 254억원으로 30% 증가했다. 이 중 국제기구 지원 등 정부 차원 지원은 2014년(141억원)과 비슷한 140억원이었지만 국내 민간단체 자체 재원을 통한 지원은 54억원에서 114억원으로 2배 이상 많아졌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등 군사적 도발에 나섰고 이에 우리정부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을 결정하면서 대화 및 교류가 단절된 상태다. .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