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울포럼 2016] "지자체·대학 협력해 유망 바이오 벤처 적극 지원해야"

<세션6>바이오 헬스케어-바이오 경제시대

美 벤처지원 플랫폼 'QB3' 참고

헬스케어·바이오 업그레이드를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 활용 땐

질병 조기 진단 시장 커질수도

11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16’ 개막식에서 션 영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권욱기자11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16’ 개막식에서 션 영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권욱기자


“미국이 ‘QB3’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미래 먹거리인 헬스·바이오 분야를 적극 육성하는 것처럼 한국도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대학이 협력해 유망 바이오 벤처를 선제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션 영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가정의학과 부교수는 1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16’의 세션 6 ‘바이오 헬스케어-바이오 경제시대를 연다’ 강연자로 나서 “한국의 바이오 산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려면 지자체(정부)와 대학, 바이오 기업이 지금보다 더 유기적으로 긴밀히 연결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미국의 바이오 기업 지원 플랫폼인 QB3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영 교수가 이날 소개한 ‘QB3(양적인 생명과학을 위한 캘리포니아 기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UC버클리·UCSF·UC산타크루즈 등 캘리포니아 소재 대학 세 곳이 함께 운영하는 바이오 기업 총괄지원 기관이다. QB3의 핵심 역할은 평소에는 바이오 신약, 의료진단기기 분야 등을 연구하다가 상업성이 충분한 아이템을 발견하면 유망 바이오 벤처에 사업화를 권고하는 것이다. QB3 소속 연구자들은 캠퍼스에 머물며 연구만 하는 게 아니라 바이오 기업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면서 기술을 상업화할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가 돼준다.


그는 “QB3는 바이오 업체들에 실험공간과 시제품 제작장소도 마련해주는 것은 물론 막강한 자금을 가진 투자가와 유망 바이오 스타트업을 연결시켜주기도 한다”며 “한국도 잠재력을 지닌 유망 바이오 기업을 다각도로 신속히 지원하는 민관 협력 플랫폼을 확장시켜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영 교수는 앞으로 헬스케어·바이오 산업에 인공지능(AI) 기술이 더 활발히 접목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최근 질병 조기진단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잘 활용하면 주요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며 “AI가 헬스케어·바이오 산업 성장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자들과 직접 수행했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에이즈 예측법’ 연구를 예로 들었다. 그는 미국에 계정을 둔 페이스북·트위터 이용자들이 올린 에이즈와 관련된 215만7,260건의 게시글을 모았다. 그리고 자체 개발한 AI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전체 50개 주 중 어느 주에 사는 사람들이 에이즈 관련 게시글을 많이 올렸는지, 에이즈에 관해 구체적으로 언급했는지 조사했다. 분석 결과 다른 주보다 플로리다주 등 미국 남동부에 위치한 주에서 에이즈와 관련된 구체적인 글이 많이 올라왔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남동부에 위치한 주에서 에이즈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처럼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잘 활용하면 지역별 질병 발병률을 예측하는 것은 물론 사전에 대응책을 효과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영 교수의 생각이다.

그는 개인 건강과 보건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과학’ 사례도 소개했다. 영 교수는 “UCLA 신입생 200명에게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게 하고 신체활동을 살펴 신입생들이 겪는 우울증·스트레스 강도 등을 분석했다”며 “이를 토대로 자살 위험이 있는 신입생 일부를 선별, 극단적 선택을 막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AI를 기반으로 한 SNS·빅데이터 분석은 앞으로도 헬스케어·바이오 업계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동훈·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