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노동당 중앙위 위원·후보위원 절반 이상 교체

통일부, 노동당대회 분석 결과 공개

노장청 조화, 김정은 친위체제 구축

지난 6~9일 북한 평양에서 열린 제7차 노동당대회의 모습. /평양=AP·연합뉴스지난 6~9일 북한 평양에서 열린 제7차 노동당대회의 모습. /평양=AP·연합뉴스




북한의 제7차 노동당대회를 계기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후보위원의 절반 이상이 교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통일부에 따르면 이번 노동당대회에서 선출된 당 중앙위 위원·후보위원 235명 중 129명(54.9%)이 새로 뽑혔다. 재선된 인물은 106명(45,1%)이었다. 특히 새로 선출된 위원 중에는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과 김정은의 새로운 측근으로 주목 받는 조용원 노동당 부부장이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북한의 노동당 중앙위는 당의 모든 사업을 조직·지도하는 기관으로 이번 노동당대회에서 노동당 위원장에 오른 김정은을 정점으로 정치국·정무국·검열위원회 등으로 구성된다.

통일부는 “정치국·정무국 등 주요 정책결정기관의 인사 선출은 일부 고령자 퇴진, 궐석 보충 등으로 (변화를) 최소화한 반면 중앙위 위원·후보위원은 과반을 교체했다”며 이는 “급격한 세대교체에 대한 기존세력의 반발을 방지하고 향후 신진 세력의 상위 직책 진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김여정과 조용원 등의 발탁에 대해서는 향후 주요 직위 선출을 위한 과정으로, 김정은 친위세력 구축 작업으로 해석했다.

중앙군사위원회 규모가 17명에서 12명으로 축소된 것에 대해서는 “군종·병종 사령관들을 중앙군사위에서 제외해 군 지휘·작전 체계의 간소화와 일원화를 도모했다”며 김정은 위원장의 ‘유일영도체계’ 강화를 위한 조치로 분석했다. 박봉주 내각 총리의 중앙군사위원 선출과 관련해서는 “군 역할 축소와 함께 당의 역할이 강화됐음을 의미한다”며 “핵·경제 병진노선에 대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지원과도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