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Fund Summary] 국내주식형 수익률 -0.10%...차익매물에 약보합





국내 증시의 단기간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에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이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3월 초부터 꾸준히 상승해 지난달 2,020선까지 뚫고 올라오며 3월 국내 주식형 펀드의 월 수익률은 3.19%를 기록했다. 코스피 지수 상승과 함께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도 동반 상승했다. 하지만 4월 중순 이후부터는 차익 실현 매물과 전 세계 경기 둔화 우려에 상승 폭을 반납한 채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국내 주식형 펀드의 4월 평균 수익률은 -0.10%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중소형주펀드와 배당주펀드가 각각 1.03%, 0.04%의 수익률로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고, 나머지 유형은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섹터주펀드의 수익률은 -2.14%로 가장 부진했다. 최근 헬스케어주식의 성과가 부진하면서 섹터펀드 수익률이 영향을 받았다.


개별 펀드로 비교했을 때는 중소형주 펀드의 성과가 돋보였다.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 상위 10개 중 절반이 중소형주 펀드였으며 이 가운데 ‘유리스몰뷰티(주식)-C/C’(2.83%)와 ‘알리안츠Best중소형(주식)-C/C1’(2.64%)가 전체 10개 펀드 중 각각 2위, 3위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국내 채권 시장은 월 수익률 0.14%로 제한된 금리 변동성을 보였다. 한 때 유가 상승 등 경기 불안감이 개선되며 금리상승세를 보였으나, 구조조정 이슈 등 정책공조 기대에 약세를 되돌리며 보합세로 마감했다. 전 유형 플러스 성과를 보인 가운데 일반채단기형(0.18%)이 강세를 보였다.

해외 주식형 펀드는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글로벌 경제지표가 부진에서 벗어나면서 플러스 수익률(0.43%)을 기록했다. 금 가격 상승으로 인해 ‘블랙록월드골드(주식-재간접)-H/A’가 14.16%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신한BNPP골드1(주식)-C/A‘과 ’JP모간천연자원(주식)-A‘도 각각 13.79%, 13.02% 수익률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로는 브라질 증시가 반등세를 나타내면서 브라질 주식펀드가 7.60%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마이너스 금리 도입 여파로 주식시장이 요동친 일본 주식펀드(-1.32%)가 가장 저조했다.

국내 펀드 중 자금은 국내주식형펀드(2조3,835억원)에서 가장 많이 유출됐으며, 머니마켓펀드(MMF)(3조5,464억원)에는 가장 많은 자금이 들어왔다.

해외 주식형 펀드의 자금 유입도 눈에 띈다. 4월 한 달 간 해외 주식형 펀드에는 252억원이 들어오면서 두 달 연속 자금이 순유입 됐다. 이는 코스피가 2,000pt를 중심으로 박스권에 머물면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해외 주식형 펀드로 이전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 2 월말 해외주식형펀드 비과세제도까지 부활하여, 관련 펀드에 대한 관심은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중국·브라질·러시아·미국·일본·인도를 뺀 기타주식에서 463억원이 들어와 가장 많이 유입됐고, 중국주식에는 185억원이 들어왔다. 해외 채권형 펀드에는 선진국 채권 위주로 자금이 몰리면서 1,168억원이 순유입됐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