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한국 MSCI 선진지수 편입 때득실 전망은

"신흥지수 추종 자금이탈" 단기적으론 失

"장기자금 유입, 증시 변동성 완화" 기대도





한국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지수로 승격하기 위한 첫 관문인 편입 검토 대상의 결정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선진지수 편입에 따른 득실 계산이 분주하게 이뤄지고 있다. 한국이 선진지수로 한 단계 올라갈 경우 해외 기관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재조정으로 신흥지수를 추종하던 자금이 대거 이탈하면서 단기적으로는 득보다 실이 더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반면 중장기적으로는 신흥국 리스크를 줄이고 시장 신뢰도를 높이는 동시에 장기투자를 지향하는 안정적 자금이 유입되면서 국내 증시의 변동성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음달 중국 A주의 신흥지수 편입이 결정될 경우 한국 선진지수 승격의 충격파를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MSCI 신흥지수 내에서 15~16%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이 선진지수로 승격될 경우 지수 내 비중이 2% 미만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존 신흥시장과 비교해 한국의 비중이 10분의1로 급감하는 셈이다. 물론 이와 비례해 선진지수를 추종하는 자금규모가 신흥지수 추종자금의 열 배가 된다면 비중이 줄더라도 충분히 상쇄가 가능하다. 하지만 지수를 단순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 기준으로 선진시장은 신흥시장의 5~6배에 불과하다. 결국 한국이 선진지수로 편입될 경우 유입되는 패시브 자금(180억달러)과 반대로 이탈될 것으로 예상되는 신흥시장 추종자금(277억달러)을 단순 계산하면 97억달러(약 12조원)가 국내에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중국 A주의 신흥지수 편입시 이탈이 추정되는 3조8,000억원을 제외해도 8조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의 유출이 우려된다. 류용석 현대증권(003450) 시장전략팀장은 “글로벌 투자기관들이 자산 재조정 과정에서 한국 비중을 줄이면 당장 수급적인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득보다 실이 더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MSCI 선진지수 편입을 둘러싸고 ‘뱀의 머리가 될 것이냐, 용의 꼬리가 될 것이냐’는 논쟁이 반복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반면 선진지수 편입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출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김동영 삼성증권(016360) 연구원은 “과거 신흥지수에서 선진지수로 편입됐던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은 선진시장 내에서도 미국과 일본을 제외하고는 증시규모가 크게 뒤처지지 않는다”며 “한국이 선진지수로 승격하면 ‘뱀의 머리’에서 ‘용의 허리’ 정도로 바뀌는 수준인 만큼 외국인 수급 공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이스라엘의 경우 지난 2010년 선진지수로 승격될 당시 시가총액이 선진시장 23개국 가운데 18위에 불과했지만 한국은 현재 기준 시가총액 규모가 선진시장 내 9위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의 선진지수 편입이 시장 신뢰도를 높이고 수급의 질적인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김영성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한국이 선진지수로 편입된다면 단기적 투자 성격이 강한 신흥시장 추종자금에 비해 보다 긴 호흡의 장기투자를 지향하는 양질의 자금이 유입되면서 국내 증시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염동찬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우리에게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 A주가 신흥지수에 편입된 반면 한국은 선진지수 편입 검토 대상에도 들지 못하는 것”이라며 “한국이 다음 달 선진지수 편입 검토 대상에 포함돼 내년 정식 승격이 발표된다면 1년간의 공백기는 발생하겠지만 중국 A주의 신흥지수 편입에 따른 한국 비중 축소를 방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한국이 선진지수로 편입되더라도 금융시장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기대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김영준 교보증권(030610) 리서치센터장도 “외국인투자가들이 인정하는 선진시장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불투명한 지배구조 개선과 함께 주주가치 극대화에 반하는 정부의 지나친 개입이 사라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