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LH 공공아파트에도 스마트 홈 기술 적용

SK텔레콤과 '지능형 스마트홈 구축' MOU

내년 상반기 입주 아파트부터 적용



앞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공공아파트에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지능형 스마트홈 서비스’가 적용된다.

LH는 SK텔레콤과 공동주택의 지능형 스마트홈 구축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스마트홈은 기존의 홈네트워크에서 제공하던 조명·가스·난방제어 등은 물론 무선센서가 내장된 냉장고·세탁기 등 가전기기 제어를 하나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다. 예컨대 스마트폰으로 미세먼지 경보 발령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거나 귀가모드를 실행해 자동으로 조명을 켜고 냉·난방을 가동할 수 있다. 또 독거노인을 위한 실버케어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데 동작 감지 센서를 활용해 일정시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집안의 전기·수도 사용량이 일정기간 전혀 없을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해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우선 LH는 현재 건설 중인 평창 동계올림픽 선수촌과 미디어촌에 적용하고, 해외신도시 수출 모델로 준비 중인 한국형 신도시 ‘K-스마트 3.0’의 핵심기술로도 이를 활용하기로 했다.

박상우 LH 사장은 “앞으로 ‘지능형 스마트 홈’ 확산을 위해 관련 산업계와 다양한 협력을 시도할 것”이라며 “임대주택 입주민도 저렴한 비용으로 질높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