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일, 내달말 北미사일 탐지·추적훈련

국방부 "MD체계 참여와는 무관"

북한은 지난 4월24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수중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북한은 지난 4월24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수중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오는 6월 말 하와이에서 한국과 미국·일본 3개국이 사상 처음으로 미사일 탐지와 추적 훈련을 갖는다.


국방부는 6∼8월 하와이에서 열리는 환태평양합동군사훈련(림팩)을 계기로 미국·일본과 함께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추적하는 미사일 경보 훈련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의 점증하는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한미일 미사일 경보 훈련을 실시하기로 하고 세부 훈련 계획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한미일 3국의 미사일 경보 훈련은 사상 처음으로 림팩 시작 직전인 6월28일 하와이 인근에서 한미일 3국의 이지스 구축함이 1척씩 참여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3국은 이번 훈련을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한 뒤 각국 이지스함이 탐지한 미사일 궤적 등을 미국의 육상중개소를 경유해 공유하게 된다. 다만 안전 문제 등으로 실제로 미사일을 발사하지는 않고 가상의 표적으로 미국 측에서 항공기를 띄울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훈련은 지난 2014년 12월 체결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관한 한미일 정보공유약정의 범위 내에서 이뤄진다”며 “약정에 따라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추적하는 정보 분야 훈련만 이뤄지고 요격 훈련은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훈련을 두고 한미일 미사일방어(MD) 연합 훈련이라고 밝힌 아사히신문의 보도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부인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국의 MD 체계 참여와는 무관하다”며 “우리는 독자적인 한국형미사일대응체계(KAMD)를 구축하고 이번 훈련을 통해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상태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