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과 제창 사이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정치쟁점화하고 있다. 이 행진곡은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에서 야당이 5·18기념곡 지정과 제창 방식으로의 변경을 요청하자 박근혜 대통령이 “국론분열이 없는 방안을 마련해보라”고 국가보훈처에 지시한 사항이다. 그러나 보훈처는 16일 기념곡 지정은 물론 현행 합창 방식의 변경도 불가하다고 밝혀 야권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두 야당은 “(5·18기념식에서) 제창이 안되면 정권에 협조할 수 없다”며 강경한 반응을 보이면서 박승춘 보훈처장의 해임 결의까지 추진하고 있다.


새누리당까지 나서 보훈처 결정에 ‘유감’을 표명했으나 보훈처가 현행 방침을 고수한 데는 나름 타당한 이유가 있다. 그러잖아도 이 노래를 둘러싼 우리 사회의 갈등 양상은 심각한 상황이다. 보훈처는 이에 따라 의무적으로 노래를 부르게 하는 제창 방식이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해서는 안 된다는 전문가의 의견과 ‘참석자 자율의사’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도 전례가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애국가도 국가 기념곡으로 지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정되면 ‘국가 기념곡 1호’라는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게 보훈처의 지적이다.

관련기사



두 야당은 정부 측에 기념식 당일까지 방침 변경을 요구하며 관철되지 않을 경우 후속 실력행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여기에 차관급 인사인 보훈처장이 대통령의 지시를 어기는 ‘해괴한 일 발생’ ‘레임덕 현상’ 등의 표현까지 써가며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야권이 4월 총선에서 승리한 것은 여당의 ‘일방주의’ 국정운영에 대한 유권자의 견제심리 때문이었다. 이런 면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사회 구성원 모두가 부르도록 힘으로 몰아붙이는 것은 또 다른 ‘일방주의’에 다름 아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