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의 스타트업 정신...떠났던 인재 다시 품는다

SDS 출신 박성파 美모바일광고 벤처 대표 상무로 재영입

삼성전자가 미국 스타트업 대표 출신의 엔지니어를 무선 개발1실 담당임원(상무)으로 영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최근 실리콘밸리 기업처럼 기업문화를 바꾸기 위해 스타트업 정신을 강조하는 삼성전자의 모습이 반영된 것으로 앞으로 삼성에 스타트업 정신이 더욱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삼성전자 분기보고서와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모바일 광고서비스 스타트업인 써드웨이브의 박성파 대표를 최근 무선 개발1실 상무로 영입했다.


박 상무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는 무선 개발1실에서 서비스 인텔리전스 관련 연구 및 개발을 맡았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이 분리돼 개발1실에서는 소프트웨어인 타이젠, 삼성페이, 모바일 보안솔루션 녹스(KNOX) 등의 OS와 서비스 및 솔루션을 담당하고 개발2실에서는 갤럭시 A·J·S·노트 등의 제품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관련기사



박 상무는 미국에서 창업-매각-창업-실패-재창업을 겪은 만큼 ‘스타트업 삼성’을 내세우는 삼성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박 상무는 지난 1998년 미국으로 건너간 후 써드웨이브뿐 아니라 가격비교사이트 마이사이먼닷컴, 소셜게임업체 아케이디아 등 다양한 회사를 창업했다. 마이사이먼닷컴은 2000년 미국 제품평가서비스업체 시네트에 7억달러에 매각되기도 했다. 상대방이 메시지를 읽으면 10초 후 자동 삭제되는 모바일 메신저 프랭클리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도 일했으며 애플·구글로부터도 러브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첫 직장이 삼성SDS였던 박 상무로서는 삼성에 재영입된 것이기도 하다. 그는 1996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뒤 삼성SDS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다. 박 상무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링크드인 페이지에 따르면 그는 삼성SDS 재직 당시 삼성엔지니어링의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소프트웨어 개발 주요 업무를 맡기도 했다. 하지만 2년도 안 돼 퇴사한 그는 실리콘밸리로 건너가 약 18년간 여러 개의 스타트업을 세웠다. 그는 과거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대부분 미국의 소프트웨어를 쓰는 걸 보면서 큰 시장에서 인정받는 제품을 만들고 싶다는 마음에 미국으로 건너갔다”고 전한 바 있다.

한편 미국 대형 은행인 웰스파고에서 결제 전략을 담당하던 김현정 상무도 최근 삼성전자의 무선 개발1실로 영입돼 삼성페이 관련 업무를 맡은 것으로 보인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