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군함도는 통한의 과거사 아닌 오늘의 문제"

27년만에 '군함도' 완성한 한수산 작가

징용과정 더욱 섬세하게 담아

피폭 조선인 실상도 생생 묘사

다시는 이런 일 일어나지 않게

사할린·피폭 2세 문제 등 다룬

'기억의 3부작' 작업 이어갈 것

한수산 작가가 18일 광화문 한 식당에서 열린 ‘군함도’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창비한수산 작가가 18일 광화문 한 식당에서 열린 ‘군함도’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창비




“‘군함도’는 어제의 우리들 선조의 고난과 통한의 역사를 그린 과거를 이야기하는 역사소설이 아니다. ‘군함도’에는 무수한 오늘이 내재돼 있다”.


작가 한수산(70)이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당하고 나가사키 원폭 투하로 피폭된 조선인의 이야기를 그린 ‘군함도’를 완성하는 데 걸린 시간은 무려 27년. 18일 이 책의 출간을 기념해 기자와 만나 “일본의 군함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의 허위 문제, 피폭의 가공할 후유증 문제 등 ‘군함도’는 오늘 우리에게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묻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수산의 이 같은 역사의식은 그의 삶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지난 1989년 도쿄의 한 고서점에서 ‘원폭과 조선인’이라는 책을 읽은 후 강제 징용 등에 대해 취재를 시작한 그는 1993년부터 3년간 언론사에 ‘군함도’의 전작이라고 할 수 있는 ‘해는 뜨고 해는 지고’라는 장편소설을 연재했다. 이후 작품이 맘에 들지 않았던 작가는 2003년 200자 원고지 5,300매 분량의 ‘까마귀’를 출간한다. 치밀한 현장 취재를 통해 누구도 쓴 적 없는 작품을 완성했지만, 더 나은 작품을 쓰고 싶다는 작가의 욕심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렇게 도쿄의 한 고서점에서 시작된 ‘군함도’는 27년 만에 나오게 됐다.


그렇게 나온 ‘군함도’는 전작에 비해 징용과정이 더욱 섬세하게 그려졌으며, 원폭 투하의 배경과 실상이 최대한 사실에 가깝게 묘사됐다. 한수산은 “‘군함도’는 단순히 개작이라고 말할 수 없이 새롭게 구성·집필한 작품”이라며 “차라리 새로운 작품을 쓰는 편이 더 옳지 않겠는가 생각할 만큼 집필하는 내내 많은 갈등과 고민을 거듭해야 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군함도(軍艦島)는 일본 나가사키현에 위치한 하시마(端島)의 별칭. 섬의 모양이 군함을 닮아 군함도로 불린다. 1940년대 조선인 500~800여명이 이곳으로 강제징용돼 착취당했고, 나가사키 원폭 투하 당시 피폭당했다. 이런 비극과 관계 없이 군함도는 일본 산업혁명의 유산이라는 명목 하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역사를 복원하고 문학으로 기억한다는 작가적 의무 속에서 27년간이나 군함도에 천착한 저자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는 “인간은 자신의 자유를 위해 싸워야 할 때 그 싸움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그것을 말하기 위해 이 소설을 썼다”고 밝혔다.

한수산은 앞으로도 과거사 문제를 다룰 계획이다. 그는 “사할린 문제, 피폭 2, 3세 문제 등을 다룬 기억의 3부작을 계획하고 있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거사를 그리는 작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