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ICT 퍼펙트스톰 온다] 부품中企도 출발부터 '저우추취'…국제경쟁력 키워

中 신산업 급성장 토대는

공식적으로 13억 5,500만명이 넘는 중국의 인구는 중국 정보통신기술(ICT)·신산업 분야가 급성장할 수 있는 탄탄한 토대다. 중국 정부도 기초기술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연구개발(R&D)에 기업 당 수백억 원까지 지원할 정도로 든든하게 후원한다. 특히 기업들은 대기업은 물론 ICT 부품을 제조하는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국내 영업과 외국 진출 병행’을 동시에 추진하며 정부와 손발을 맞추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00년대 중반부터 ICT 산업 발전 중장기 정책에 ‘저우추취(走出去·외국 진출)’을 우선 과제로 명시해왔다. 국가가 주도적으로 중국 시장뿐 아니라 세계에서도 통하는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중국 기업들이 출발부터 ‘글로벌 공급사슬’에 참여하는 선순환을 불러왔다. 애플 공급업체 리스트(supplier list)에 따르면 애플의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중국 업체는 2011년 8개에서 2013년 16개로 증가하기도 했다.


신산업에서도 이같은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신산업 정책인 ’인터넷 플러스’의 세부 규정 격인 ‘인터넷 플러스 행동추진 지도의견(지난해 시행)’에는 ‘인터넷 기업과 금융, 정보통신 분야의 협력을 통한 우선적인 해외진출 지원 및 장려’가 주요 내용으로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중국 정부는 해외 인수·합병(M&A), 공동경영, 지점설립 등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고, 국경 간 공급사슬시스템을 구축해 자국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기업이 외국에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정책을 실시해 외국 진출의 장애물을 걷어내고 있다. 중국 측 투자 금액이 10억 달러 미만인 사업의 경우 중국 국가와 외교적으로 민감한 국가, 업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고제로 전환하기도 했다.

한 국책 연구기관 연구원은 “중국정부가 기업에 보조금을 무차별 살포해 ‘좀비 기업’을 양산한다는 지적도 있고 중국이라고 성장만 보장된 것은 아니다”면서도 “정부가 큰 틀에서 미래를 내다보고 산업과 기업 지원 방안을 짜고 기업들도 내수 뿐만 아니라 당연히 글로벌 진출을 염두에 둔다는 점에서 파괴적”이라고 강조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