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가동 중단 100일 맞은 개성공단, 재가동은 요원

정부, 다음주 입주기업 피해 종합지원대책 발표 예정

27~29일 통일박람회에서 개성공단 재고 물품 판매

정부 "아직 개성공단 전체적으로 상태 유지"

19일 우리 정부가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개성공단 가동 중단 조치를 발표한 지 100일째를 맞았다. 그러나 남북관계에서는 여전히 대화 및 개선의 조짐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개성공단의 운명은 정부가 발표한 ‘잠정 가동 중단’이 아닌 ‘영구 폐쇄’로 기울어지는 모습이다. 북한은 여전히 핵개발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고 있고, 우리 정부는 “북한의 진정성 있는 변화 없이는 대화·교류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 대한 정부 지원은 아직 진행 중이다. 정부는 그 동안 고정자산 피해와 관련해 2,168억원의 경협보험금을 지급했고 이르면 다음 주에는 입주기업들의 완제품과 원부자재 등 유동자산 피해에 대한 지원 방안을 담은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입주기업들로 구성된 개성공단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전체 입주기업들의 유동자산 피해 규모는 2,464억원에 달한다.

관련기사



일부 입주기업들은 재고 물품 정리에 나섰다. 오는 27~29일 서울 광화문광장·세종로공원에서 진행되는 ‘통일박람회 2016’ 행사에서는 입주기업들이 생산한 물품들이 판매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정부합동대책반을 통해 확인 결과 참여 의사를 밝힌 입주기업들의 그릇, 등산의류, 양말, 속옷 제품 등이 판매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개성공단에 현재까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입주기업들이) 철수할 때 있던 상태에서 크게 훼손되지는 않고 전체적으로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입주기업들이 공단 내에 남겨둔 원부자재와 완제품을 대량 반출하는 움직임도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