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朴 공약 '신라왕경 복원사업' 좌초 위기

문화재委 "무리한 복원" 반려

지난해 신라 멸망 후 1,000여년 만에 속살을 드러낸 경주 월성 유적지. /사진제공=문화재청지난해 신라 멸망 후 1,000여년 만에 속살을 드러낸 경주 월성 유적지. /사진제공=문화재청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가 강력한 의지를 갖고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 중인 경주시 ‘신라왕경복원사업’이 좌초 위기에 빠졌다.

문화재위원회는 지난 11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사적·건축·세계유산의 3개 분과 합동회의를 열어 경주시가 확정한 신라왕경복원·정비사업 계획을 반려했다. 20일 서울경제신문이 확인한 회의록에 따르면 이날 합동회의에서는 경주시가 월성, 동궁과 월지, 월정교, 첨성대 주변, 황룡사 등 8개 유적을 아우르는 약 197만㎡ 지역의 사업추진 계획을 보고했으나 합동분과위원회는 “수정·보완 후 재보고”할 것을 권고하며 ‘반려’ 조치했다. 이에 따라 대선 공약 중 하나로 박 대통령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신라왕경복원사업이 차질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문화재위원회의 이번 반려 결정에는 경주시의 계획이 지나치게 ‘복원’ 중심이라는 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성에 왕궁을 다시 짓고 황룡사지에 목탑을 세우는 식의 복원계획이 유적의 진정성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지적 때문이다. 더구나 사업 대상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속해 고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추정 복원을 강행하면 세계유산 박탈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문화재위원은 “정확한 고증이 덜됐고 그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새롭게 용역발주를 한 것으로 안다”며 “대부분의 위원이 성급하게 밀어붙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한편 박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이 직접 경주 월성을 방문하는 등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에 현정권 임기 내 성과를 내기 위한 경주시의 무리한 공사 추진이 문화재계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