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다급해진 클린턴, 샌더스 붙잡나

러닝메이트 지목 가능성에

확답 피했지만 가능성 열어둬

성사 땐 본선 승리 가능성 높아

좌파적 공약 수용은 부담으로

/AP/AP




미국 민주당의 대선 승리 카드로 ‘힐러리-샌더스’ 드림팀이 성사될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민주당 대선주자로 사실상 확정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을 부통령 러닝메이트로 지명해 그의 지지자들을 흡수하고 민주당 분열사태도 막는다는 시나리오다.

클린턴 전 장관은 19일(현지시간) CNN 인터뷰에서 샌더스 의원을 부통령 러닝메이트로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것까지는 생각하지 않았다”며 명확한 답변을 거부했다. 이에 대해 CNN은 “클린턴 전 장관이 샌더스의 러닝메이트 지명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샌더스도 지난 7일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면 수용하겠느냐’는 질문에 “물론 경선이 끝나면 클린턴과 우리가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 논의할 수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당초 클린턴의 러닝메이트로는 같은 여성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히스패닉인 훌리안 카스트로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팀 케인 전 버지니아주지사 등이 거론돼왔다.

관련기사



하지만 샌더스가 경선 완주를 선언하며 당내 분열이 깊어진 가운데 클린턴에 대한 유권자들의 혐오감이 커지면서 양측의 공동전선 형성이 유력한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클린턴은 공화당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와의 본선 가상대결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한 채 여론조사 때마다 엎치락뒤치락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샌더스의 일부 과격 지지자들이 올 7월 전당대회에서 불공정한 경선룰을 이유로 결과에 불복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대선 패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이런 마당에 클린턴보다 본선 경쟁력이 높은 샌더스를 부통령 러닝메이트에 지명하면 승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클린턴은 흑인 등 소수계와 여성이 주요 지지기반인 반면 샌더스는 젊은층, 백인 노동자 등으로부터 열광적 지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전국민의료보험, 국공립대 등록금 폐지, 빈부격차 해소 등 샌더스 의원의 좌파적 공약을 어느 정도 수용해야 하고 보수적인 공화당 지지층의 표심이 결집할 수 있다는 것이 부담이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aily.com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