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원전 건설로 울산경제 구하자

양재영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

양재영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양재영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


전 세계에 저성장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며칠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2%대로 낮춰 전망하면서 재정 확대를 권고할 만큼 우리 경제도 저성장 국면의 고착을 우려해야 하는 형편이다. 울산시처럼 중화학공업을 주력으로 하는 공업도시의 경제적 타격은 불가피해 보인다. 최근 조선업의 불황 및 침체로 구조조정이 거의 기정사실화하는 가운데 지난달 한 여론 조사 기관에 따르면 이러한 여파로 울산시민의 만족도가 떨어졌다고 했다. 한층 더 우려스러운 것은 지난해 12월부터 울산시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소식이다. 울산의 인구 감소는 바로 울산 경제의 성장동력 약화와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고 이는 곧 소비 및 투자 감소, 일자리 축소와 교육·주거·복지 환경의 악화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우려를 일거에 해소할 기회를 저지하겠다고 환경단체가 나서고 있으니 개탄스럽다.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말이다.


환경단체는 신고리5·6호기가 들어서게 되면 고리 원전 지역은 세계 최대의 원전 밀집 지역이 되고 사고 확률이 커진다고 주장하지만 지나친 왜곡이요 기우(杞憂)다. 고리1호기가 오는 2017년 중반 영구정지되면 그보다 10배 이상 안전성이 향상된 신고리5·6호기 2기가 들어서더라도 전체 사고 확률은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난해 말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지구 온난화 억제를 위해 원자력의 역할이 강조된 것은 일본 후쿠시마 사고에도 전 세계가 원자력의 안전성을 충분히 신뢰하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총 8조9,000억원 규모의 플랜트 사업인 신고리5·6호기 건설은 원자로 설치까지의 18개월만 해도 연 140만명 이상의 인원이 투입되고 기반시설 확충, 지역 지원 사업, 지방세 납부 등으로 건설부터 운영까지 약3조원의 추가 재원이 투입될 것이니 총 12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재원이 울산을 통해 흐르게 된다. 지역주민 고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니 침체 국면에 놓인 울산의 입장에서는 놓칠 수 없는 기회다.


특히 원전산업은 조선업의 용접·비파괴검사 등 유사 업종이 다수 존재하며 용접사의 경우 건설 초기 연 2,500명 규모에서 최대 8만명 이상 투입되니 조선업 인력 구조조정의 충격을 줄여줄 대안이 될 수 있다.

관련기사



이뿐 아니라 이 사업은 실제 건설기간만 약 7년에 이르고 한수원의 190여개 계약업체와 설계사인 한국전력기술, 주기기 공급사인 두산중공업, 시공사인 삼성물산·한화건설 등에 수백 개의 협력사가 연계돼 있으니 그 직원과 가족들이 울산 경제에 기여할 몫이 적지 않을 것이다. 또 선행 사업인 신한울1·2호기의 경우 2013년도 총계약액 2,182억원 중 지역업체분이 44%를 넘는 965억원으로 신고리5·6호기도 그만 한 몫을 지역 업체들에 안겨줌으로써 울산 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것임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신고리5·6호기는 이에 그치지 않고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미세먼지 및 분진 문제에 대한 해결사 역할도 담당할 것이다. 동시에 전력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해 국가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것은 지난 40년간 계속돼온 원전의 역할이니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신고리5·6호기의 원형인 ‘APR1400’ 개발의 일익을 담당한 필자는 이 원전이 세계 최고로 안전한 원전임을 확신한다. 한수원은 막대한 투자 재원 보호를 위해서라도 안전 확보에 주력해야 하며 각종 정보를 공개해 지역주민과 국민의 신뢰를 쌓는 것은 물론 이 원전이 지속적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행해나가야 할 것이다.

양재영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