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해외식당 종업원 이탈은 사실"

통일부 "지난달초 13명 집단귀순이 영향 미친듯"

중국 소재 북한식당 종업원들의 추가 탈출 보도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가 24일 “최근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들이 이탈한 것은 사실”이라고 확인했다. 이 당국자는 또 이번 탈북이 지난달 초에 이뤄진 중국 닝보 북한식당 종업원 13명의 집단귀순을 모방한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아무래도 영향을 미치지 않나 싶다”고 밝혔다.

전날 대북 소식통은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북한식당 종업원 3명이 탈북했다고 전했으나 식당의 소재지 및 종업원 수는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도 이날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들의 탈출 사실은 확인했지만 “인원과 어디인지(식당 소재지)는 못 알려드린다.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식당이 중국 산시성 시안에 위치해 있으며 종업원 수는 2~3명 수준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들은 현재 태국 모처에서 한국행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그동안 해외 북한식당 종업원의 집단귀순에 대해 우리 정부의 납치극이라며 강력 반발해온 북한 내부의 충격과 동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등 해외 북한식당에 근무하는 종업원들의 연쇄 탈북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관련기사



일단 북한은 해외식당 종업원들에 대해 외출금지령을 내리는 등 내부 단속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날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당국이 중국 내 북한식당 종업원들의 유일한 낙이었던 단체외출을 일절 금지했다”면서 “식당 종업원들의 외출금지 조치가 약 한 달 전에 시행된 것으로 봐 닝보의 북한식당 종업원 집단탈출 사건 직후에 내려진 것으로 추측된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의 인터넷 선전매체인 ‘메아리’는 이날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에 요구한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지난달 집단탈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3명의 송환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 매체는 “생이별을 당한 부모와 자식들이 하루빨리 만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로 보편적인 국제관례이며 인도주의”라며 “남조선에 가는 반기문에게는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이 인권유린 행위를 문제시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