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빅3' 살리고 부실 중소형사는 정리...조선업 구조조정 수순 밟을 듯

근거 없는 업황 낙관론·채권단 전문성 결여에

수조원 혈세만 날려… 책임론 불거질 듯

STX중공업 STX포스텍 등 계열사도 줄도산 우려

STX조선에 대한 구조조정이 결국 법정관리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부실 중소 조선사는 정리하고 ‘빅3’ 대형 조선사는 살리겠다는 금융당국의 조선업 구조조정 방침이 수순을 밟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STX조선은 지난 2013년 유동성 위기로 자율협약에 들어갔으나 영업손실이 누적되면서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지 못했다. 채권단은 지난해 말 STX조선에 4,5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으나 조선업황이 개선되지 않고 수주가 끊기면서 STX조선 처리 방안에 대한 재논의가 불가피해졌다.


하지만 자율협약이 실시된 후 3년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수조원의 자금지원이 이뤄지다가 이제 와서야 STX조선 문제를 매듭짓는 것을 두고 정부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측의 책임론을 거론하는 목소리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구조조정에 따른 후폭풍이 두려워 ‘폭탄 돌리기’를 해오다가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사까지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자 결국 STX조선해양은 포기하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금융계 안팎에서는 조선업에 대한 근거 없는 낙관론과 채권단의 전문성 결여가 수조원의 혈세를 낭비하는 화근을 불러왔다고 지적하고 있다. 앞으로 더 큰 문제는 STX조선해양과 같은 사태가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사 구조조정 과정에서도 충분히 재발될 수 있다는 점이다.

뚜렷한 회생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명확한 근거 없이 수조원대 자금 지원이 이뤄지고 누구도 해당 조선사의 현실을 꿰뚫지 못하고 있는 상황은 STX조선해양이나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 과정이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STX조선해양이 결국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되면 강덕수 회장이 세웠던 STX그룹은 완전한 해체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STX조선이 법정관리로 갈 경우 그나마 자율협약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STX중공업·STX포스텍 등 STX 계열사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채권단이 지난해 말 STX조선의 법정관리행을 끝까지 주저했던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었다.

관련기사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STX중공업의 경우 매출의 약 15%를 STX조선에 의존하고 있으며 STX포스텍은 매출의 사실상 100%를 다른 STX 계열사 등에 기대고 있기 때문에 STX조선이 법정관리로 갈 경우 줄줄이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여기에 ㈜STX의 경우 STX조선에서 받아야 할 매출채권이 약 1,000억원인데 법정관리로 인해 이를 대손비용으로 처리할 경우 사실상 자본잠식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더불어 STX조선이 법정관리로 갈 경우 채권단이 1조원 이상의 ‘선수금환급보증(RG)콜’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보여 채권단의 충격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박은 수주할 때 계약서에 조선사의 법정관리 시 RG에 대한 콜옵션을 명시하는 데 STX조선이 법정관리를 신청할 경우 채권단이 보증금을 현금으로 토해내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모든 선주가 RG에 대한 콜옵션을 행사하지는 않겠지만 추가 피해는 불가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채권단은 환급해줘야 하는 RG의 규모와 청산가치 등을 고려해 법정관리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현재 STX조선 채권단에는 우리·KEB하나·신한은행 등 시중은행들이 반대매수청구권을 행사하고 탈퇴해 채권단에는 산업은행(48%), 수출입은행(21%), 농협(18%) 등 국책·특수은행 등만 남아 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