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선 관련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조속히 지정을"

부산 중소 조선기자재 업체

주영섭 중기청장과 간담회

주영섭(가운데) 중소기업청장이 25일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조선기자재 업체 전진엔텍의 작업 현장을 방문해 김병국(오른쪽) 대표로부터 애로사항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중기청주영섭(가운데) 중소기업청장이 25일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조선기자재 업체 전진엔텍의 작업 현장을 방문해 김병국(오른쪽) 대표로부터 애로사항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중기청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중소 조선기자재 업체들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과 해외 조선업체들과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25일 부산 지역 조선기자재 업체들과 간담회를 갖고 해당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들었다. 주 청장은 26일에는 울산 소재 조선기자재 기업들과 만남을 갖는다.


이날 간담회에서 중소기업들은 조선해양산업의 위기극복을 위해서는 조선관련 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조속히 지정해 금융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 사업주는 고용유지 지원금 등 각종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실업자는 90~240일간 주어지는 실업급여 지급 기간이 120~270일로 확대되고 지급 수준도 실직 전 평균임금의 50%에서 60%로 높아진다.

간담회에 참석한 A업체는 “시중은행들이 조선업 관련 모든 기업에 대해 신규자금 융자를 제한하고 있어 기술경쟁력을 갖춘 우량 중소기업들까지 자금상황이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부가 신속하게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B업체는 “대기업 조선사들이 수주절벽에 내몰리고 있는 만큼 조선기자재 업체들은 국내에 편중된 판로를 해외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해외 조선사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정부가 나서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생산규모는 100억달러에 달하는데 이중 80%가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빅3에 몰려 있다.

중소기업들은 이와 함께 △조선기자재 사업다각화 △국적선사 정상화와 부산항 환적 물동량 확대 △해운보증기구 보증보험료 현실화 △해운·조선·화주기업 협의기구 신설 △선박관리산업 해외영업 확장 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주영섭 중기청장은 “조선기자재 업체들은 조선 3사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서 벗어나 기술개발로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한다”며 “중소·중견기업 수출지원센터를 활용해 일본·중국 등 해외로 거래선을 확대하면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기청은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의견을 수렴해 자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항은 조치하고 다른 부처와 협력해야 하는 과제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을 대변해 의견을 개진하기로 했다. 중기청은 4개 지방중기청을 중심으로 조선업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현장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있으며 전담자를 지정해 조선업분야 중소기업 수주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