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소똥, 수거 뒤 바로 고체연료 만든다

농진청, 제조 기간과 비용 줄인 새 기술 개발…산업화 기대

농촌진흥청은 소의 배설물을 거둔 뒤 바로 고체연료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농진청은 수분이 60% 이상인 소똥을 1~2일 만에 직경 10~20mm 이하의 둥근 환 모양 펠릿으로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축사에서 거둔 소똥을 압착 방식으로 수분을 줄이고 고르게 섞은 뒤 환 모양 펠릿화 장치에 넣고 가공하면 고체연료가 완성된다. 이 방법은 축사에서 나온 똥을 바로 가공할 수 있어 분뇨가 농가에 머무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만드는 기간이 짧고(기존 1~2개월) 방법이 단순해 인건비와 운영비, 부자재비용 등을 아낄 수 있다. 시설비도 기존 방법보다 약 20∼30%가량 저렴하다.

관련기사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소똥 1톤으로 약 300~400kg의 고체연료를 만들 수 있다. 발열량은 1kg당 3,000kcal 이상으로 무연탄의 70% 수준이다. 우리나라 가축분뇨 발생량은 한해 4,623만톤(2014년 말 기준)으로 이중 89.7%가 퇴비·액비로 사용되고 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