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약세장선 로보어드바이저도 별수 없네

1호 공모펀드 기대이하 성과

18억 모집·수익률 -1.12%

"대박날 종목 골라줄 거라는

과도한 기대는 금물" 지적

‘알파고’ 같은 돌풍은 없었다. 지난달 출시된 국내 최초의 로보어드바이저 공모펀드 이야기다. 아직 시장의 반응이 미지근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과신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25일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설정된 ‘키움쿼터백 글로벌로보어드바이저’ 펀드는 현재까지 18억원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국내 최초의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라는 점을 내세워 흥행을 노렸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성과는 아니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약세장 속에서 그나마 선전했지만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고 전했다.



최근 1개월 수익률도 -1.12%에 그쳤다. 1개월 만에 성과 두고 평가하기는 무리가 있지만 같은 기간 동안 벤치마크(MSCI 선진국지수 등) 수익률이 -0.56%임을 감안하면 초반부터 부진한 모습이다.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해 자금을 굴려주는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는 때마침 지난 3월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 열풍이 불면서 큰 기대를 모았다. 인간 펀드매니저보다 더 일관적·합리적이고 정교한 운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추측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3월을 전후로 한국투자증권의 ‘한국투자 로보랩’, 우리은행의 ‘로보어드 알파’ 등 로보어드바이저를 적용한 랩이나 투자 자문 서비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까지 잇따라 출시된 바 있다.

관련기사



이처럼 로보어드바이저 마케팅에는 불이 붙은 반면 정작 운용역이나 투자자들의 분위기는 정반대다. 한 자산운용사 운용역은 “오히려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들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출시된 초기 단계의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서비스가 부진한 성과를 거둘 경우 자칫 투자자들 사이에서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뿌리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 임원도 “로보어드바이저는 자산배분·관리 등에 유용하다고 보면 된다”며 “대박 날 종목을 골라줄 거라는 등의 과도한 기대는 금물”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국내보다 앞서 로보어드바이저 금융서비스가 발전한 미국 등지에서도 연금펀드의 자산배분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