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 태양광 이용한 이산화탄소 메탄올 변환 기술 개발

탄소배출 규제 강화 추세 속 도움될 듯

태양광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바꿀 수 있는 광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국제적으로 탄소배출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이산화탄소 배출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강정구 김용훈 EEWS 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이같은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광촉매로 쓰이는 백금의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아 태양 에너지를 활용해 메탄올로 변환시키는 게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이용해 감지 범위를 가시광선 영역까지 확대시키고 전자전달능력을 1만배 이상 높였다.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는 화학물질이나 전기에너지를 첨가하지 않고도 메탄올 발생량을 기존 기술보다 25배 이상 높였다.

관련기사



강 교수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산업체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지난 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