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60세 임시직,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이유는?

전체 연령대를 통틀어 임시직 증가세가 주춤하고 있지만 60세 이상에서만 임시직이 두드러지게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은퇴 후 생계를 꾸리기가 여의치 않자 단기 일자리라도 찾는 베이비붐 세대들이 늘어나기 때문.

26일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3월 임시직은 1년 전 같은 달보다 3만4천명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임시직은 통상 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단기 일자리를 의미한다. 전체 임시직은 작년 12월 이후 증가세가 둔화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1월 전년 동월보다 17만4천명까지 증가한 임시직은 12월 11만3천명 늘었고 해가 바뀐 올해 1월에는 1만9천명으로 증가 폭이 줄어 들었다. 2월에는 오히려 9천명 감소했다.

그러나 임시직의 증감 속에서도 60세 이상에서만큼은 임시직이 매달 10만명 안팎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

지난해 8월 9만5천명으로 급증한 60세 이상 임시직은 9월 10만4천명, 10월 9만8천명 늘어났다. 11월 11만3천명에 이어 12월에는 13만8천명까지 늘더니 올해 1월에도 11만3천명, 2월 9만1천명, 3월 11만7천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60세 이상 임시직 증가세는 다른 연령대와 비교할 때 올해 들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났다.


전체 임시직 근로자 수가 뒷걸음질친 2월의 경우 노동시장 진입 연령인 15∼24세 임시직은 3만5천명, 40대는 3만9천명이 각각 줄었다.

관련기사



60세 이상 외에 임시직이 늘어난 것은 50대 뿐. 50대마저도 8천명으로 60대에 비해선 미미한 수치를 보였다.

3월에도 15∼24세 연령층(-2만4천명), 40대(-5만1천명) 등 40대 이하 연령층에선 임시직이 모두 줄어든 가운데 60세 이상과 더불어 50대(2만2천명)에서만 임시직 규모가 늘어났다.

60세 이상에서 임시직이 늘어난 것은 기본적으로 고령화에 따라 이 연령대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60세 이상 인구는 작년부터 전년 같은 달보다 매달 40만명대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은퇴 이후 소득원이 사라진 베이비부머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임시직으로 몰렸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주로 은퇴 연령층인 60세 이상이 은퇴 후 소득 보전을 위해 노동시장으로 나왔지만 상용직을 구하기 어려워 임시직으로 가게 된 것”이라며 “평소에는 별다른 구직활동하지 않은 채 비경제활동인구로 있다가 단기 일자리가 생기면 취업하는 형태”라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