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채권단 "조선 빅3 자구계획 최소 10조는 돼야"

당국·채권단 고강도 압박에

조선사 "부실기업 취급안돼"

회계법인 진단 후 최종 결정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에 고강도 자구노력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들 3사가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6조원 수준은 턱없이 부족하며 최소 10조원 수준의 자구계획이 수립돼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해당 조선업체들은 선제적 자산매각 등 구조조정을 통해 1·4분기부터 흑자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부실기업처럼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27일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조선3사의 자구 수준과 관련해서는 향후 3년간 예상 현금 흐름을 기준으로 잡고 있다”며 “각 조선사는 채권단의 추가 지원 없이 독자 생존할 수 있는 규모의 자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조선3사가 주채권은행에 자구계획 초안을 통해 제시한 자구 규모는 △대우조선해양 2조5,000억원 △현대중공업 2조원 △삼성중공업 1조5,000억원 등 6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당국과 채권단의 시선은 싸늘하다. 앞으로 수년간 조선업황 개선이 불투명한 만큼 최소 10조원 정도를 비축해야 한다는 게 채권단의 판단이다. 시장에서도 향후 3년 간 인건비를 비롯한 고정비용과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등을 고려할 때 조선3사의 자구안 규모가 10조원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조선 빅3의 최종 자구 규모는 현재 진행 중인 회계법인의 재무진단을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삼성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은 삼정KPMG를, 현대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은 삼일PwC를 각각 재무진단에 투입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삼정KPMG가 이달 초부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재무 및 경영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에 대해서도 시나리오별로 필요한 자금 규모부터 파악한 후 기존에 제출한 자구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것이 당국과 채권단의 계획이다.

이 같은 당국과 채권단의 강공 움직임에 대해 한 대형조선사 고위임원은 “지난해까지 대규모 부실을 낸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까지 자력으로 버텨왔고 선제적 자산매각, 인력감축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채권단 관리를 받고 있는 다른 조선사처럼 취급당하는 것은 억울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혜진·조민규기자 hasim@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