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암 잡는 킬러단백질, 면역수용체 결합해야만 작동"

김헌식 울산대 교수팀 세계 최초 규명

자연살해세포 표면 '2B4'등 조합돼야 활성화

암세포가 인체 면역세포에 의해 제거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헌식 울산의대 교수 연구팀이 인체 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NKC)의 표면에 있는 항암 면역수용체들이 암세포를 죽이는 단백질인 ‘KF-kB’를 활성화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29일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여타 면역세포에선 면역수용체가 각각 홀로 작용하지만 자연살해세포에선 면역수용체가 서로 결합해야만 항암작용을 한다는 점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자연살해세포 표면의 면역수용체인 ‘NKG2D’와 ‘2B4’가 결합한 형태나 ‘2B4’와 ‘DNAM-1’이 결합한 형태로만 암세포 살해 단백질 NF-kB가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백혈병의 일종인 ‘B세포 림프종’환자들은 자연살해세포 기능 저하 증상을 보여왔는데 이번 연구 결과 해당 환자들은 면역수용체 2B4를 조합하지 못해 NF-kB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김헌식 교수는 “자연살해세포는 T세포나 B세포 등 다른 면역세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활성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앞으로 내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항암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자연살해세포는 암 줄기세포까지도 죽이는 강력한 능력을 가졌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런 작용이 이뤄지는 지에 대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교수팀은 교육부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과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 프런티어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번 프로젝트를 실시했으며 연구결과는 권위 있는 과학저널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6일자에 실렸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