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신종 ETF·ETN 양날개로 '홍콩 쇼크' 났던 ELS 쏠림 막는다

[금융위 '펀드 상품 혁신' 방안]

손실제한 ETN·액티브 ETF 등

다양한 상품 나오게 규제 풀어

중위험·중수익 대표상품 육성

부동산·실물자산 펀드에

공모 재간접펀드 도입해

개인 투자 문턱도 낮추기로

금융위원회가 29일 발표한 펀드 상품 혁신 방안의 초점은 주식·채권 등의 전통적 자산 투자에 쏠려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공모 펀드 시장에 대대적인 변화를 주는 것에 맞춰져 있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채권(ETN)을 대표적인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육성하는 동시에 주로 기관투자가 중심으로 조성되던 부동산·사회간접자본(SOC) 펀드에 일반투자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주기로 했다. 마땅히 돈 넣을 곳을 찾지 못하는 일반투자자들이 다양한 투자처를 통해 더 손쉽게 자산을 불릴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금융위는 펀드가 유가증권과 기초지수에 투자하는 단순 구조로 돼 있어 기초자산이나 지수가 하락하면 손실을 줄일 수단이 없지만 앞으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손실 폭을 제한하는 펀드들이 나오도록 했다. 예를 들어 이익의 상한을 두는 대신 가격 하락 시 손실이 경감되는 ‘커버드콜 펀드’, 최대 손실이 제한되는 ‘손실제한형 펀드’, 시장 위험을 제거하고 특정 지수만 추종하는 바스켓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절대수익추구형 펀드’ 등이 대표적이다.


금융위는 코스피200 등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종하는 인덱스형 ETF 외에도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도록 규제를 풀기로 했다. 대표적인 상품은 액티브 ETF다. 액티브 ETF는 지수를 소극적으로 추종하는 기존 상품과 달리 자산운용사가 투자자에게 다양한 수익률 기준을 제시해 운용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수익률 기준이 없는 액티브 ETF도 도입된다. 아울러 거래소가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손잡고 만드는 ‘스마트베타 지수’를 기초로 하는 ETF는 올해 하반기 중 상장된다. 스마트베타 지수는 기업의 내재가치(value), 성장 가능성, 배당 성향 등 특정 요소를 이용해 시장수익률보다 높은 성과를 추구하는 지수다.

관련기사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구조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구조


금융위의 또 다른 활성화 대상으로 언급되는 상품은 중위험·중수익 성격의 ETN이다. ETN은 주가연계증권(ELS)과 같이 파생결합증권 상품으로 분류되지만 ETF와 마찬가지로 거래소에 상장돼 있어 투명성이 확보되고 즉시 시장에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송아름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연구원은 “ETN은 통상 1~20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며 투자 자산의 성과대로 수익을 지급하는 채권 투자의 성격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일단 투자자의 손실 폭을 제한하도록 구조를 짠 ETN의 상장을 허용하고 ETN에 분산투자하는 공모 방식의 재간접 펀드 출시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위가 ETF와 ETN에 대한 규제를 대폭 풀어주는 것은 지난해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의 폭락 사태로 대규모 손실 우려가 제기된 ELS를 대체할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ELS가 다른 상품과 비교해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져 일반투자자들이 위험과 비용 등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구조가 복잡한 ELS에 일반투자자가 정확한 판단 없이 투자할 수 없도록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3일 정도의 숙려기간을 부여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고령층에 한해 숙려기간을 두고 있다.

더불어 금융위는 부동산과 SOC 등 실물 자산에 대한 일반투자자의 접근 방식도 다양화한다. 실물 자산 펀드 투자에 특화된 공모 재간접 펀드를 도입하는 동시에 그 안에서 선순위·중순위·후순위 등의 손익 분배 기준을 나눌 수 있도록 했다. 실물 자산 펀드가 만기 때 매각으로 반드시 청산하도록 규정한 조항도 손질해 공모 펀드로 전환한 뒤 기한 없이 지속해 유지되도록 한다. 또 사모 실물 펀드가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금융위는 중장기적으로 실물 자산 펀드에 최소 90% 이상 투자하는 특수목적회사(SPC)를 상장시키는 제도의 도입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