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빅데이터 경제정책에 활용하려면…"공공정책 빅데이터 센터 구축과 시범사업 실시해야"

30일 부산발전연구원 정책포커스서

‘빅데이터의 부산 경제정책 활용을 위한 과제’ 발표

부산발전연구원은 30일 정책포커스 ‘빅데이터의 부산 경제정책 활용을 위한 과제’를 발표하고 빅데이터를 부산시 경제정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축과 시범사업 실시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도식은 경제분야 시범사업. /제공=부산발전연구원부산발전연구원은 30일 정책포커스 ‘빅데이터의 부산 경제정책 활용을 위한 과제’를 발표하고 빅데이터를 부산시 경제정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축과 시범사업 실시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도식은 경제분야 시범사업. /제공=부산발전연구원




빅데이터를 경제정책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조직 구축과 시범사업 실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30일 정책포커스 ‘빅데이터의 부산 경제정책 활용을 위한 과제’를 발표하고 이같이 제안했다.

보고서를 보면 2000년대 들어 비약적으로 발전한 빅데이터 기술은 현재 진행 중인 산업 혁신과 기업 재편의 기술적 기반이 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과 접목한 지능형 개인비서, 제조로봇, 무인자동차 등은 인간의 생활양식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실제 미국 LA경찰은 범죄예측 시스템 ‘PredPol’을 도입해 시간과 지역에 따른 범죄 예측 정보를 얻어 효과적으로 치안을 확보하고 경찰인력 비용을 줄였다.

미국 기업인 프라이스스테츠닷컴은 빅데이터 수집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온라인 물가지수를 정부 공식 통계보다 빨리 기업들에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예산 투입과 성과 면에서 빅데이터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통신사와 카드사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통해 서울골목상권 1,008개 영역을 식별하고 43개 업종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해 중소자영업자를 지원하고 있다.


경기도는 CTV 사각지대 분석, 도로 포트홀 실시간 모니터링, 공동주택 관리비·계약형태 분석 등 3개 중점과제와 8개 일반과제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있다.

관련기사



보고서를 작성한 황영순 연구위원은 “부산시 등 빅데이터 활용 시도가 늦은 후발 지자체는 빅데이터를 도입해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과제”라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업무방식에 대한 경험이 없을 뿐 아니라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데이터 수집과 공유 프로세스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밝혔다.

이 때문에 부산시가 빅데이터를 경제정책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직과 시범사업 실시 등이 필요하다는 게 황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그는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전문조직으로 광역과 기초 자치단체가 공동 설립하는 공공정책 빅데이터 센터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빅데이터 생성에 기초자치단체의 역할이 매우 크지만 지적 범위와 예산의 한계로 독자 추진이 쉽지 않은 현실에서 공동 설립을 통해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분야 시범사업은 경제모니터링, 자영업과 전통시장 지원, 관광 빅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경진대회를 제시했다.

황 연구위원은 “현재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은 정책담당자에게 가장 필요하지만 전통적인 통계조사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빅데이터로 부산경제 관련 키워드를 모니터링해 경제 이슈에 즉시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그는 “전통시장 활성화에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며 “시장 방문객의 거주지와 선호도 분석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전통시장 관광시장화 정책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경제정책 수단에 관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획득하기 위해 빅데이터 경진대회를 개최하면 좋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범시민적 관심과 참여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