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상호투자 많은 中 자산관리상품..연쇄부도 우려

GDP 30% 달하는 발행액 중 10%가 상호투자된 것으로 추산

채무불이행 내지 만기연장 중단시 美 서브프라임 모기지 재판될 수도

중국 금융시장의 암초로 주목받고 있는 자산관리상품의 10% 가량이 상호투자된 것으로 드러나 연쇄부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자산관리상품의 시장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23조5,000억 위안(4,240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35%에 육박한다. 이 가운데 상호투자된 상품규모는 2조6,000억 위안(473조원)은 상호 투자된 것으로 추산된다.


자산관리상품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15%의 고금리를 미끼로 중국 개인투자자들에게 자금을 조달해 회사채, 주식, 파생상품 등에 투자한 상품이다. 은행들이 장부에 기재하지 않고 판매한 경우가 많아 중국 금융시장에서 대표적 위험요인으로 지목돼왔다.

관련기사



중국의 자산관리상품은 3년전 7조1,000억 위안에서 지난해 말 23조5,000억 위안으로 3배 가량 늘어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어터너머스 리서치가 중국 은행들의 공개정보와 은행 간 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한 결과, 이 중 85%인 2조6,000억 위안 상당은 다른 상품이 매입한 것으로 추산됐다. 통신은 “상품 간 상호투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처럼 정확한 취약지점을 모르게 되는 불확실성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상품은 이미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사례가 있다. 지난 2012년 전직 중국 화하은행 직원이 판매한 상품이 발행자인 사모투자펀드(PEF)의 채무불이행으로 부도가 나자 항의시위가 일어났으며, 당국이 개입하면서 투자자들은 전액 배상을 받았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의 잭 위안과 그레이스 우는 “자산관리상품 상환자금은 새로 발행한 같은 유형의 상품으로 조달하는 경우가 많다”며 “투자자들이 만기연장을 중단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하면 은행의 유동성 부족사태를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