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걸음마 수준인 우리나라의 석유자원 개발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중국 등 자원개발에 적극적인 국가와 협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지적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일 ‘저유가 시대의 석유자원 개발 산업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내고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부터 해외 석유자원 개발에 힘써 해외 기업의 지분확보를 통해 정부 목표치인 자주 개발률에 도달했다”면서도 “석유자원 개발사업에 필요한 노하우나 인력·기술 확보 등 실질적인 자원회수는 낮은 편”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우리나라의 석유자원 개발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실질적인 투자 및 개발은 2008년대 이후에 이뤄져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자주개발률이 정부 목표치인 10%에 도달했지만 아직 국내 에너지 수입액의 5.4%에 불과해 전체 수입액 대비 소규모에 그친다.
특히 우리나라 석유자원 개발 산업의 문제점은 전체 가치사슬 과는 동떨어진 개발 시스템에 있다. 석유자원 개발의 실질적인 수익은 대부분은 상류 부분에서 창출되지만 우리나라는 하류의 정제 부문만 발달해 있고 상·중류 부문은 매우 취약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경쟁국인 중국과 일본이 석유자원 확보를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권이 바뀌자 해외자원 개발 자체를 등한시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대조적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일본은 해외 석유개발에 935억달러, 중국은 712억달러의 돈을 투자했다. 같은 해 51억달러는 투자한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수준이다.
김성진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일본은 일찍이 정부 주도로 관민협동 전략을 혈치고 있다”며 “정부에서 자원외교 및 정책지원을 하면 민간 상사에서는 실질적인 석유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특히 일본 종합상사들은 단순 지분 참여에서 벗어나 석유 개발사업 전 단계에 참여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역시 해외석유자원개발을 위해 ‘저우추취(去出去)’ 전략을 세우고 공격적인 개발에 나서고 있다. 최근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북미·북해까지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정부 원조 또는 M&A 절차 간소화로 자원을 확충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해외 석유개발에 적극적인 중국과 협력해 진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며 “특히 우리나라가 그간 축적한 비즈니스 파워를 강점으로 윈윈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