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자구안 확정 조선업 실천 속도가 관건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자구계획 방안을 채권단이 1일 받아들였다. 앞으로 있을 회계법인 실사과정에서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그대로 확정된다고 한다. 두 회사의 자구안은 총 5조원 규모에 이른다. 비주력 계열사 매각과 함께 불요불급한 보유주식을 처분하고 인력을 줄이겠다는 게 골자다. 진통을 겪고 있는 대우조선해양도 이달 중순께 자구안 마련이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조선산업 구조조정이 본궤도에 진입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돼 다행이다. 하지만 자구안 확정은 시작에 불과하다. 그야말로 계획일 뿐이다. 실천이 담보되지 않으면 단지 휴지조각에 그칠 수 있다. 그것도 속도를 내지 않으면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동양그룹이 전형적인 사례다. 강도 높은 자구안을 내놓았지만 실천은커녕 꼼수를 부리다가 그룹이 공중 분해되고 국가 경제에 큰 상처를 남겼다. 버티면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오판으로 골든타임을 놓치면서 신용등급이 추락하고 계열사 매각 등 자구노력이 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졌기 때문이다. 자구안이라는 게 소나기를 피하기 위한 시간벌기용에 불과했던 셈이다. 조 단위의 거창한 자구안이 흐지부지된 경우는 이외에도 많다.

관련기사



그나마 조선업계는 2~3년 걸리는 자구안 실행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니 기대된다. 현대중공업은 당초 거론됐던 시기보다 1년가량 빠른 내년 말까지 자구안을 실천하기로 했다고 한다. 자구안 실천에는 노조의 동참도 필수적이다. 인력감축에는 노조의 협조가 불가결하다. 그래야 자구노력에 속도가 붙고 회사도 회생할 수 있다. 어느 때보다 ‘노사 한몸’이라는 동반자 의식이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