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간첩누명 씌운 조국에 기부금 낸 재일교포

억울한 옥살이 5년 김종태씨

36년 만에 진실 밝히고 새 생활

재일교포 향한 냉대 바꾸고자

배상금 일부 동국대 기부 결정

간첩누명 썼던 재일교포 김종태(66) 씨. /사진제공=동국대간첩누명 썼던 재일교포 김종태(66) 씨. /사진제공=동국대




조국에서 간첩 누명을 쓴지 36년 만에 무죄 선고를 받은 재일교포가 배상금 일부를 고국에 기부했다.


주인공은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난 재일교포 김종태(66)씨. 그는 3일 오후 동국대를 찾아 5,000만원을 맡겼다.

김씨는 “기부금 이름을 ‘재일 한국인·조선인 2세 문학기금’으로 해달라”고 요청했다.

서울대에서 유학하던 그는 지난 1976년 간첩으로 몰렸다. ‘조선총련’ 산하 단체에 가입해 활동하고 북한의 지령을 받아 한국에 잠입했다는 혐의가 씌워졌다. 엄혹한 군사독재 시절 법원은 징역 10년을 선고했다.


김씨는 감옥에서 5년10개월을 지내다 가석방으로 풀려났다. 일본으로 돌아간 그는 도쿄에서 무역회사 대표를 지내는 등 새 생활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관련기사



2012년 김씨는 진실을 밝혀야겠다는 생각에 뒤늦게 재심을 청구했다. 그해 12월 서울중앙지법은 그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간첩 누명을 쓴 지 무려 36년 만이었다.

당시 재심 재판부의 최동렬 부장판사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그리고 사법부를 대표해 사과드린다”고 사죄했다.

간첩이라는 얼토당토않은 누명을 씌운데다 청춘까지 앗아간 조국에 등을 질 법도 했다. 그러나 김씨는 오히려 재일교포의 과거와 현재를 모국에 알리고 싶었다. 재일교포를 바라보는 좋지 않은 인식을 바꾸고 싶었다. 자신이 수십 년 동안 억울함을 느낀 배경에 그런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고 느꼈다.

김씨는 고민 끝에 무죄 판결로 받은 배상금의 일부를 재일교포 관련 연구 진흥을 위해 기부하기로 결심했다.

재일교포 문학 연구자를 수소문하던 김씨는 같은 재일교포로 도쿄에서 출판사를 운영하는 고이삼 대표를 통해 김환기 동국대 일어일문학과 교수를 소개받았다. 김 교수는 “20대 시절 청운의 꿈을 안고 모국에 와 간첩 사건에 연루돼 조국을 버리고 싶었겠지만 김씨는 한국어 공부도 게을리하지 않고 뿌리를 지키겠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재일교포 관련 학술서 발간 등에 의미 있게 쓰겠다”며 “김씨의 깊은 뜻을 우리도 잘 보듬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