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重, 필요땐 그룹차원 지원"

삼성, 자구안에 유상증자 포함

금융당국 "공식 발표해야" 압박

삼성 "시장 원리대로 구조조정"

이재용 유상증자 참여엔 선긋기

삼성그룹이 경영부실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삼성중공업에 대한 지원에 나설 수 있다는 의사를 채권단에 밝혔다. 다만 아직은 유상증자가 필요할 경우 시행한다는 ‘조건부 지원’ 차원의 입장이다.

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산업은행이 최근 잠정 승인한 삼성중공업의 자구안에는 필요시 유상증자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의 자구안에 유상증자와 관련 삼성 계열사의 지원이 언급돼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하지만 시기나 방법이 구체적이지 않고 필요하면 하겠다는 수준의 의사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의 유상증자 방안과 관련, 삼성 계열사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참여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워왔다. 하이투자증권·현대오일뱅크 등 보유 자산이 넉넉한 현대중공업과는 달리 삼성중공업은 거제 삼성호텔, 판교 R&D센터 등 다 합쳐 수천억원 규모의 부동산 외에는 남은 자산이 없다. 게다가 대규모 해양플랜트 인도 시기가 내년에 몰려 있어 유동성 우려는 여전하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삼성그룹이 삼성중공업을 지원해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당초 자구안 내용에 대해 채권은행과 삼성중공업은 대외비로 합의하기로 했으나 금융권에서 그룹 차원의 지원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삼성중공업 자구안에 대해 채권은행이 잠정승인했다고 보기에는 이른 측면이 있다”며 “대외적으로 발표를 해야 약속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느냐”며 삼성 측의 공식 발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또 다른 고위당국자도 “추가로 재무진단이 진행 중이므로 이를 토대로 보완해서 최종적으로 자구안을 확정해야 할 것”이라며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려면 (삼성그룹의) 대외적인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삼성그룹은 이번 자구안에 필요시 삼성중공업이 유상증자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담은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삼성중공업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들이 주요 주주로 돼 있어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할 경우 각 회사가 이사회를 통해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 삼성전자가 최대주주로 17.62%의 지분을 갖고 있고 삼성생명·삼성전기·삼성SDI·삼성물산·제일기획 등 계열사 지분 합계는 24.09%에 달한다.

특히 이 부회장이 사재를 털어 유상증자 참여 의사를 밝혔던 삼성엔지니어링과 삼성중공업은 상황이 다르다는 게 삼성 측의 설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자본잠식과 상장폐지 위기에 몰리면서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이었던 데 반해 삼성중공업은 현재 구조조정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해가고 있다는 것. 삼성그룹 관계자는 “삼성중공업 증자에 이 부회장이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계열사 부실이 발생할 때마다 오너 일가가 사재를 털어 부실을 막아야 한다는 논리와 다름없다”며 “시장 원리대로 구조조정과 유동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혜진·김영필·한재영기자 hasim@sedaily.com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