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꽉 막힌 院구성 속도 내나

더민주, 오늘 협상재개 기대

새누리, 野불신 시한 넘길수도

여야 3당이 원 구성 협상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5일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의 변수가 작용할지 관심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은 “새누리당이 협상에 나서지 않는다”며 여당이 박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고 있다는 취지로 공격해왔다. 야권은 원 구성 협상에 대해 ‘청와대 배후설’을 제기하며 “박 대통령이 해외 순방 일정에 나간 상황이라 여당이 협상을 마음대로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집권당 몽니에 청와대가 배후”라며 “청와대는 빠져라”라며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여당으로서 청와대의 의견을 듣지 않을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박 대통령 귀국 후 의견을 물어보고 원 구성 협상에 본격적으로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박완주 더민주 원내수석부대표는 5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만나자고 했으나 새누리당이 거부했다”며 “박 대통령이 귀국한 만큼 적어도 6일에는 협상이 재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야당 주장처럼 원 구성 협상의 키를 쥐고 있는 것이 박 대통령이다 보니 귀국과 함께 교착 상태의 협상이 풀리지 않겠느냐는 기대를 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새누리당은 “두 야당이 사전에 만나 원 구성 협상을 미리 논의한 것에 대한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며 책임을 전가했다. 원구성 협상 교착은 야당이 여당을 배제한 채 밀실에서 원 구성 협상을 미리 논의한 것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더민주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을 양보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법사위를 내줄 테니 다른 모든 알짜 상임위를 더민주에 양보하라는 식”이라며 불만을 터뜨린 바 있다.

원 구성 협상을 놓고 여야 간 감정싸움이 길어지면 교착 상태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6일 여야 원 구성 협상이 진행되더라도 더민주와 새누리당이 국회의장과 정무위원회, 운영위원회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인다면 원 구성은 여야 3당이 약속했던 법적 시한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의장 선출은 7일, 상임위원회 구성은 9일이 법정 시한이다.

그러나 원 구성 협상이 20대 국회 협치의 첫 시험대인 만큼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박 원내수석부대표는 “새누리당 원내수석이 전권을 받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면 협상 속도가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