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5월 주택담보대출 3조5,000억 늘었다

지난달 국내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3조5,000억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지 않은 집단대출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국내 6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60조1,37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인 지난 4월(356조5,956억원)과 비교하면 3조5,421억원 늘어난 것으로 월별 기준으로 올 들어 최대 증가치이다. 지난달 이전에는 4월이 3조2,067억원으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3월(2조1,628억원)과 2월(8,460억원), 1월(1조3,308억원)은 이보다 증가폭이 훨씬 적었다.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한 이유는 집단대출 때문이다. 집단대출은 신규 아파트를 분양할 때 대출자 개인의 상환능력에 관계없이 중도금과 이주비·잔금 등을 빌려주는 은행 대출을 말한다. 6대 은행의 집단대출은 5월에만 1조8,016억원이 늘어 5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50.8%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달 5만가구 안팎의 아파트가 분양되면서 부동산 집단대출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집단대출은 2월 이후 6대 은행에서만 7조원 이상 급증하며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관련기사



또 이사철을 맞아 주택거래가 증가한 영향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지역의 5월 아파트 거래 건수는 1만350건으로, 올 들어 가장 많았다. 지난 4~5월 거래건수는 1만8,903건으로 1~3월 석달치 거래 건수(1만7,417건)를 웃돌았다.

손정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해 분양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중도금 대출이 실행되면서 집단대출이 올해 급증하고 있다”며 “은행들이 신규 대출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집단대출을 취급하고 있어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부실로 이어지는 위험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