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학 평생교육원 '학위 장사 기관' 변질

"새 수입 창출 창구" 졸업장 미끼 학생 유치 열올려

시설 투자 안해 공간부족…대학 구성원 불만도 거세



교육 소외계층의 평생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학 평생교육진흥원이 ‘학위 장사 기관’으로 변질되고 있다. 서울시내 대학들은 총장 명의의 졸업장 발급을 앞세워 수강료를 챙기고 있지만 별다른 시설 투자 없이 20대 학생 유치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평생교육원 수강생이 최근 급증하면서 대학 내 공간 부족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학내 구성원 간의 새로운 갈등 요소를 야기하는 등 피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6일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따르면 대학 총장 명의의 평생교육원 학위 수여자는 지난해 5,107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14년(2,786명)과 비교하면 83%나 급증한 수치다. 올해 상반기 졸업자는 3,098명에 이르러 연간 총 졸업자 역시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학 부설 평생교육진흥원은 당초 지역 주민의 평생 학습권 보장, 대학교육 미수혜 집단을 위한 대학 학력 취득 기회 제공 등을 위해 설립됐다. 대학에서 운영하는 전공이 학점은행제 표준교육과정 학위 종류와 유사할 경우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확인 과정을 거치면 해당 대학 학위가 주어진다. 학생들은 전체 취득 학점의 60% 이상을 특정 학교에서 이수하면 총장 명의의 졸업장을 받을 수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최근 들어 평생교육진흥원 이용자 수가 급증하는 것은 ‘평생교육’이라는 본래 취지 뒷면에 재정 악화에 직면한 대학들이 새로운 수입 창출 창구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다수 대학들은 일반전형을 통해 들어온 학생과 외견상 구별하기 어려운 졸업장 발급을 미끼로 학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실제로 주요 대학의 학점은행제 수료생 졸업장의 경우 ‘법률 시행령 제9조에 의거한다’는 문장 정도만 추가됐을 뿐 일반 졸업장과 거의 차이가 없다. 서울시내 대학의 한 관계자는 “평생교육원은 비등록금 회계로 분류되다 보니 학교 입장에서 눈치 보지 않고 돈을 쓰기가 훨씬 수월하다”며 “대학으로서는 매년 500명의 학생만 유치해도 최소 30억원에 가까운 수입이 생기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대학들이 앞다퉈 평생교육원 사업을 확대하다 보니 기존 학내 시설이 평생 교육원 소속 학생들을 위한 공간으로 전환되면서 학내 구성원들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다. 서울의 K대에 재학 중인 김모군은 “일부 교수님들마저 소속 학과 건물에 연구실을 두지 못할 정도로 학내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얼마 전에는 학생들이 엠티를 간 사이에 학교 측이 도서관을 허물고 평생교육원 전용 공간으로 바꾸는 사태도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서울 D대학 대학원생 이모군은 “학교 입장에서는 만만한 게 대학원이다 보니 대학원 건물을 평생교육원 전용 공간으로 바꾸는 경우가 많아 이제는 매주 강의실을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한 일과가 됐다”고 하소연했다. S대에서는 학생회 차원에서 평생교육원 소속 학생들의 동아리 가입을 막는 등 학내 구성원 간의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한 대학 평생교육원 원장은 “대학 구조조정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청년들을 대상으로 대학 학위를 늘려가는 것은 난센스”라며 “특히 지금처럼 평생교육원을 활용해 서울에서 학위를 딸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면 지방대 고사는 더 앞당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