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감정노동자, 직무 자율성 낮으면 자살 충동 최대 4.6배까지 증가

감정노동 심하게 요구받고 직무 자율성 낮으면 자살 충동 올라가

남성 노동자 특히 높은 수준 보여

연구 결과 직무 자율성이 낮으면 감정노동자의 자살 충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결과 직무 자율성이 낮으면 감정노동자의 자살 충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60만∼740만 명으로 추산되는 감정노동자. 전체 임금근로자 10명 중 3∼4명에 달하는 수치다. 안전보건공단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감정노동자 2,652명 중 58.3%가 우울증을 겪고 있었고 이 중 8%는 자살을 시도하거나 생각한 적이 있었다.

이렇듯 감정노동자의 자살 위험은 익히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직무 자율성이 낮은 남성 감정노동자는 자살 위험도가 최대 4.6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국내에서 감정노동과 직무의 자율성을 대규모로 조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7일 윤진하 연세대 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에 따르면 감정 소모가 큰 직무를 행하면서 직무 자율성도 낮은 사람의 자살 충동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남성이 최대 4.6배, 여성이 2.78배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4차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해 총 1,995명의 서비스·판매직을 대상으로 1년간의 자살 생각과 감정적 직무 요구 및 자율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감정노동이란 실제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무관하게 일해야 하는 직무를 말한다. 주로 고객을 응대하는 서비스 직업 종사자들이 감정노동자에 해당한다. 직무 자율성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허용되는 자율적인 재량권을 말한다. 똑같이 고객을 응대하더라도 근로자가 상황 내에서 융통성 있게 판단하고 이를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경우를 보고 직무 자율성이 높다고 본다.

관련기사



윤 교수팀의 연구 결과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요구받는 근로자의 자살 충동은 그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남자가 2.07배, 여자가 1.97배 높았다. 여기에 직무 자율성의 요인을 추가했을 때에는 남성 노동자의 자살 충동 수치가 크게 상승했다.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하면서 직무 자율성까지 낮은 남성의 자살 위험도는 4.6배, 여성은 2.78배까지 커졌다.

반면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하면서 직무 자율성이 높은 사람의 자살 충동은 남성이 1.93배, 여성이 1.6배로 상대적인 위험이 낮았다. 감정노동자의 자살 충동 수치는 타 직군에 비해 높은 편이나 업무를 자기 재량껏 할 수 있다면 그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윤 교수는 “같은 감정노동자라고 하더라도 고객을 응대하거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재량권이 부여됐을 때 자살 위험도가 다소 낮아졌다”며 “감정노동자의 자살을 예방하고 정신건강 개선을 위해서는 근로자에게 일정 수준의 권한을 부여해 직무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직무 환경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공식학술지 7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김인경인턴기자 izzykim@sedaily.com

김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