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인도까지 품은 美...'中 포위' 마지막 퍼즐 맞췄다

오바마·모디총리 정상회담서

군수지원협정 등 군사동맹 강화

남중국해 문제도 공동대응키로

日·호주·필리핀 등 亞太 지역

안보협력벨트 구축 마무리

7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양국의 군사적 협력을 동맹 수준으로 격상하기로 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7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양국의 군사적 협력을 동맹 수준으로 격상하기로 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미중 전략경제대화에서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로 중국과 충돌했던 미국이 인도와 동맹을 확장하며 대중 포위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호주-필리핀에 인도까지 포함하는 반중(反中) 안보협력 벨트를 구축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압박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7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뒤 양국 안보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성명에는 미국과 인도가 핵심 방산기술을 공유하는 내용의 군수지원협정을 곧 체결하기로 하는 등 군사적 협력을 동맹 수준으로 격상하는 내용이 담겼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에서 “군수와 해양정보 공유, 심지어 미국 항공모함의 이동과 관련한 중요한 국방협약을 마무리하는 데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며 “양국은 협력과 공조를 심화하려는 노력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모디 총리의 방미일정을 수행 중인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장관도 “미국이 인도를 주요 국방 파트너로 인정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며 양국 군사동맹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미국과 인도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남중국해에서 함께 중국을 견제할 것이라는 메시지도 밝혔다. 양국이 발표한 공동성명에는 중국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해양에서 자유항행권이 존중돼야 한다”는 문구가 포함됐다. AP통신 등 주요 외신들은 남중국해에서 양국이 중국에 공동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고 풀이했다.


오바마 대통령과 모디 총리의 이번 만남은 새로 부각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주도의 안보동맹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일본과 호주·필리핀·베트남·미얀마에서 인도에 이르기까지 중국을 에워싼 미국 주도의 거대한 안보협력 벨트 구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인도는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전략무기를 보유한 세계 4위의 군사강국으로 미국 주도의 군사동맹에 포함될 경우 대중 압박 수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미국과 인도 간 관계 강화는 중국의 급부상을 막기 위한 오바마 행정부의 아시아 정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기업들의 인도 투자 러시도 이어졌다. 이날 아마존은 모디 총리의 방미와 함께 열린 미국·인도 기업협의회에서 앞으로 인도사업 부문에 3억달러(약 3조5,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제프 베저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이미 인도에서 일자리 4만5,000개를 창출했으며 앞으로도 인도 경제의 잠재력을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원자력 기업 웨스팅하우스도 인도에 원자력발전소 6기를 짓기로 인도원전공사와 합의했다.

한편 중국은 미국과 군사적 긴장을 이어갔다. CNN은 이날 동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전투기가 미국 정찰기에 근접해 활동을 방해했다고 전했다. 미 국방부 관계자는 “중국 전투기가 통상적 정찰활동 중인 정찰기에 갑자기 접근했다”며 “속도와 고도 측면에서 볼 때 아주 위험한 상황이었다”라고 밝혔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