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대선조선 유동성 위기 극복 못하면 법정관리

중소 조선사 구조조정 방안

정부 "유동성 자체 해결 못하면 법정관리 또는 청산"

정부가 내년께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선조선에 대해 회사 자체 노력으로 해결이 안되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성동조선의 경우 자구계획을 성실히 이행한다면 2019년까지 자금 경색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SPP조선은 채권단 주도로 재매각을 추진하되 무산될 경우 마찬가지로 처리방안을 재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8일 발표한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에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중소 조선사 문제에 대해 “공급능력 축소 및 자구노력을 강력히 추진하되 채권단 추가 신규자금 지원은 없다”고 못박았다.

기승인된 자금은 지원하되 중소 조선사에 추가로 은행 돈을 넣지는 않겠다는 의미다. 정부는 중소 조선사들을 향해 “수주 선박을 최대한 조속히 건조한 후 인도해 채권단의 선수금환급보증(RG) 콜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라”고 압박했다. 또 유동성 문제가 생겼을 때 자체 해결이 안되면, 자율협약이 종료되고 법정관리 또는 청산 절차에 돌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선사별로 보면 성동조선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자구계획을 이행할 시 2019년까지 자금 부족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성동조선에 대해 수은의 기승인 자금(7,200억원) 중 미집행잔액(2,230억원)에 한해서만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성동조선은 현재 총 3개 야드 중 1개 야드만 운영 중이며 삼성중공업과의 경영협력을 통해 6개 선주사와 19척의 수주 협상이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대선조선의 경우 자구계획을 이행해도 내년에 자금부족 사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인건비 절감 등으로 자체 해결하겠다는 이행각서를 제출한 상태다. 정부는 회사 자체적인 해결이 안될 경우 처리 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대선조선은 2018년까지 총 673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마련해 영도 공장 매각 및 인력 감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SM그룹에 매각을 추진하다 무산된 SPP조선은 주채권은행을 통해 재매각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SPP조선은 내년 3월까지는 자금 부족 없이 수주한 선박 13척의 건조 및 인도가 가능한 상황이다. 정부는 재매각이 또 다시 무산되거나 유동성 문제가 발생 시 SPP조선에 대해서도 법정관리 또는 청산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고 밝혔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