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여소야대 국회의장, 더민주 정세균 선출 '압도적'

6선인 더불어민주당 정세균(66·서울 종로) 의원이 ‘여소야대’인 20대 국회 전반기 2년간 입법부를 이끌 국회의장 후보로 결정됐다.

정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더민주 의원총회에서 총 투표 참석자 121표 가운데 71표를 획득, 35표를 얻은 문희상 의원을 압도적 표차이로 제치고 국회의장 후보 자리를 자치했다. 박병석 이석현 의원은 각각 9표, 6표를 득표했다..


애초 당내에서는 두 번이나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지낸 문 의원이 정 의원과 경합을 벌일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고, 이 의원과 박 의원이 ‘다크호스’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으나 개표 결과 정 의원은 2위 득표수의 두 배 넘게 얻으며 낙승했다.

이는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진영’ 의원들이 정 의원에게 몰표를 던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정 의원은 문재인 전 대표 때 당 운영의 한 축을 맡으면서 당내에서 ‘범친노 인사’로 분류된 바 있다.

아울러 전체 123명의 의원 중 57명에 달하는 초선의원들 역시 대거 정 의원을 지지한 것으로 예측된다.


원내 제1당의 국회의장 후보로 결정된 정 의원은 여야가 합의한 대로 이날 오후 본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를 통해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정 의원이 의장으로 공식 선출되면 탈당을 해야 하는 만큼, 더민주 의석수는 123석에서 122석으로 한 석 줄면서 새누리당과 동수를 갖게 된다.

20대 국회는 새누리당과 더민주, 국민의당 3당체제이기 때문에 국회 운영에 있어서 국회의장의 대화와 타협의 정치, 조율과 조정능력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여소야대 국면에서 정부·여당과 거야(巨野)의 충돌이 계속될 우려가 있어 국회의장의 책임과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 내년 연말에는 대선을 앞둔 만큼 입법부내에서 여야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돼 입법부 수장으로서 중립성 시비에 휘말리지 않는 것도 주요 과제로 손꼽히고 있다.

정 의원은 경선에서 승리한 후 “여소야대의 20대 국회는 이전 국회와는 확연히 달라야 한다”며 “국회다운 국회, 국민의 국회, 헌법정신을 구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회를 만들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