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유통·제조 벽 허무는 이마트…소주 시장 출사표

제주소주 300억에 인수 가계약

마트·편의점 등 유통망 활용해

주류업계 강자 롯데에 도전장

제주소주가 2014년 내놓은 ‘곱들락’과 ‘산도롱’제주소주가 2014년 내놓은 ‘곱들락’과 ‘산도롱’




이마트가 제주소주를 인수하며 주류 제조업까지 진출했다. 신세계그룹이 기존 와인·수입맥주·수제맥주에 이어 소주로 이어지는 라인업을 갖춰 종합 주류업체를 넘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만큼 롯데주류와의 대결 구도도 주목된다.

신세계그룹은 9일 이마트가 제주도에 기반을 둔 ‘제주소주’와 주식매매 가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추가협의와 실사를 거쳐 최종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최종 인수대금은 300억원 안팎으로 점쳐진다. 제주소주는 2011년 자본금 25억원으로 설립돼 2014년 ‘곱들락’, ‘산도롱’ 등 소주 판매를 개시했으나 지난해 매출 1억4,000만원, 당기순손실 32억원을 기록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마트는 올 2월 첫 인수 제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 관계자는 “앞으로 제주소주의 청정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해 중국, 베트남, 몽골 등 이마트가 진출한 국가뿐 아니라 일본, 미국 등에도 적극 수출할 계획”이라며 “국내의 경우 우선 제주 지역 3개 이마트점포에서 판매하고 추이를 지켜본 뒤 서울 등 다른 지역 점포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마트는 최근 노브랜드, 피코크 등 식품 관련 PB(자체 브랜드)를 잇따라 선보이긴 했지만 대부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이었다. 때문에 업계에선 제조사인 제주소주 인수를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평가한다. 제조·유통업의 경계가 점차 무너지면서 유통공룡인 이마트가 앞으로 제조·유통을 겸하는 상품을 강화하는 게 아니냐는 예측도 나온다.

나아가 신세계그룹이 주류 라인업을 완성하면서 비슷한 사업구조를 갖춘 롯데주류와 서서히 경쟁구도를 구축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신세계그룹은 현재 신세계L&B를 통해 와인과 맥주 등을 수입 유통하고 있으며 신세계푸드를 통해 수제맥주도 만든다. 여기에 제주소주까지 품으면서 2008년 두산주류를 인수, ‘처음처럼’, ‘클라우드’ 등으로 소주·맥주 시장의 강자인 롯데에 도전장을 내밀 수 있게 됐다. 아직은 롯데에 비해 규모가 미미하지만 백화점과 대형마트, 편의점 등 롯데에 필적하는 유통망을 갖춘 만큼 종합 주류업체로서의 도약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한편 이마트는 제주소주 인수 후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제주소주가 탄탄한 향토기업으로 자리 잡도록 하고, 사업 초기 제주지역 인재를 채용키로 했다. 또한 제주소주를 통해 제주도와의 사업적 관계 및 상품 매입 규모를 확대하고 한류 콘텐츠를 결합해 제주를 상징하는 한류 상품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