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오바마 "힐러리는 대통령에 딱 맞는 사람"

"용기·열정 소유...나는 그의 편"

오바마 유튜브 통해 지지 선언

15일부터 선거운동 뛰어들기로

샌더스도 "대화하겠다" 우호적

워런은 트럼프 공세로 힘 보태

민주당, 정권 연장 위해 결집



미국 정치권에는 ‘8년 주기설’이 있다. 양당 체제인 미국에서 한 정당이 대선에서 세 번 연속 승리하기 어렵다는 징크스다.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특수상황에서 내리 4선을 한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이후 재선에 성공한 대통령이 소속된 정당에서 차기 대통령을 배출한 경우는 단 한 차례. 8년을 집권한 공화당의 도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조지 H W 부시에게 자리를 물려준 경우가 유일하다. 하지만 부시 대통령도 재선에는 실패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민주당은 이런 징크스를 깰 수 있을까.

민주당이 정권 연장을 위해 대선후보로 확정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중심으로 결집하고 있다. 선봉에는 50% 이상의 높은 지지도를 자랑하는 오바마 대통령이 섰다. 오바마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클린턴 전 장관 선거 캠페인 웹사이트와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려 “클린턴 후보보다 대통령 자리에 더 적합한 사람이 있는지 모르겠다. 나는 그의 편이다. 캠페인에 동참하고 싶다”고 말했다. 현직 대통령이 8년 전 자신과 대통령 후보를 놓고 경합을 벌였던 경쟁자에 대한 공식 지지를 선언한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는 용기와 열정, 그 일(대통령직)을 해낼 수 있는 가슴이 있다”면서 “그와 20년 이상 토론했던 사람으로서 말할 수 있다”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지지 선언은 클린턴의 당내 경쟁자인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과 백악관에서 회동한 직후 나왔다. 샌더스가 이 자리에서 사실상 경선 패배를 시인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동영상에서 샌더스 의원에 대해 “경제 불평등과 금권정치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젊은이들을 정치적 과정에 끌어냈다”고 평가하면서 “두 사람은 경선에서 라이벌이었지만 우리 모두 믿는 미국의 비전을 공유한다”고 말했다. 경선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불협화음을 치유하고 본선 승리를 위해 손을 잡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클린턴 전 장관은 오바마의 지지 선언에 대해 “세상 전부를 얻었다”고 화답했다. 경선 완주를 선언한 샌더스 의원도 이날 사실상 클린턴의 승리를 인정했다. 그는 “트럼프를 무찌르고 1%가 아닌 국민 모두를 대표하는 정부를 만들기 위해 클린턴 전 장관과 대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미국 언론은 오바마 대통령의 지지 선언을 기점으로 민주당이 클린턴 후보를 중심으로 단합하며 대선 본선 대오를 갖출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오바마 대통령은 마지막 당내 경선인 워싱턴DC 경선(14일) 다음날 위스콘신주 지지 유세를 시작으로 선거운동에 뛰어들 예정이다. 위스콘신주는 쇠락한 공업지대(러스트벨트)로 민주당과 공화당의 지지세가 엇비슷해 본선의 최대 승부처 중 하나로 꼽힌다. 샌더스 의원도 워싱턴DC 경선을 끝으로 후보를 사퇴한 뒤 클린턴을 공식적으로 지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오바마 대통령이 샌더스 의원에게 민주당에 힘을 불어넣을 가치 있는 역할을 해줄 것을 주문했다고 백악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젊은 층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는 샌더스의 지원을 당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에 대한 민주당 공세수위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트럼프 저격수’로 불리는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 민주당 상원의원이 트럼프를 ‘사기꾼’으로 몰아붙이며 공세에 나섰다. 의회전문지 더힐에 따르면 워런 의원은 미국헌법학회 연설에서 “트럼프는 인종차별을 일삼는 끔찍하며 자극에 민감한 사기꾼”이라고 비난했다. 멕시코계 연방판사에 대한 트럼프의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미 언론은 클린턴이 대선후보 확정으로 한숨을 돌렸지만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e메일 스캔들’ ‘벵가지 사건’ 등 자신을 둘러싼 추문을 극복하는 것이 최대 과제다. 클린턴이 샌더스를 러닝메이트로 지목해 기득권 이미지를 희석시키고 청년과 백인 지지자를 끌어들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