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래부, 기후변화 대응 30개 프로젝트 발굴

협력대상국과 사업 관련 등 본격 착수

미래창조과학부는 협력대상국가의 기후기술 수요와 공공 연구성과에 기반해 30개의 글로벌 기후기술협력 시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협력대상국가와 사업 관련 협의 등을 본격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국제사회는 196개 전 당사국이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시 및 이행 의무를 갖는 ‘신기후 체제’ 성공의 비결로 ‘기술’을 지목하고, 기술보유국가들의 혁신적인 기후기술 이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정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기반해 기술지원체제의 국내 창구(NDE)로 미래부를 지정하고, 글로벌 기후기술협력을 본격적으로 준비해 왔었다.


미래부는 글로벌 기후기술협력 추진을 위해 3~5월에 걸쳐 25개 출연연과 5개 과기특성화대를 대상으로 협력대상국가들의 기후기술협력 수요를 분석해 제공하고, 기관들이 보유한 기술 등을 토대로 유망 협력 아이템을 조사·선별했다.

관련기사



조사결과 20개 기관이 110건의 협력가능 아이템을 제출했고, 기후기술협력 및 국제개발협력 전문가들이 기술 주기·적정성 등에 기반해 글로벌 협력 유망기술 15건과 기술사업화·산업계 전문가들이 보유특허, 기업 연계·확장성 및 협력대상국가의 수요 등을 고려해 글로벌 협력 유망 사업모델 15건을 선별했다.

미래부는 기술 및 사업모델 관련 출연연과 특성화대가 국내외의 사업 파트너 발굴과 녹색기후기금(GCF)과 같은 재정지원기관으로 부터의 재원 조달을 통해 범지구적 온실가스 감축에 한국이 책임 있는 지구촌의 일원으로서 적극 참여하는 성공모델 창출을 목표로 다양한 지원을 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향후 녹색기술센터(KIST GTC) 내 전담팀 구성, 협력 아이템 발굴을 위한 조사대상 확대, 지원 예산 확보 등을 통해 상시적 발굴·지원 체계를 가동함으로써 제2, 제3의 글로벌 기후기술협력 사업들을 계속 시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