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소재규 완구조합 이사장 "완구 '손톱밑 가시' 폐기물 부담금 제외를"

[중기조합이사장에게 듣는다] <2>소재규 완구조합 이사장

저출산에 내수시장 좁아지는데

저가 중국산 범람, 무역역조 심화

환경관련 규제·인증비 등 큰부담

펄프 등 완구소재 대부분 재활용

폐기물 부담금 대상서 제외 시급

유통매장 수수료 체계도 개선해야

연구개발·품질향상 여력 생겨





1990년대 한국 수출의 대표 아이템이었던 완구 산업의 위축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저출산 영향으로 내수시장은 점점 좁아지고 있는데 저가 중국산이 밀려들면서 그야말로 ‘이중 딜레마’에 처한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완구산업도 한 물 갔다’는 자조적인 한탄도 흘러나온다. 소재규(사진) 한국완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완구 부활을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가 공동보조를 맞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소 이사장은 한국 완구산업의 맏형으로 통한다.



소 이사장은 “완구산업이 폐기물 분담금 대상에 포함돼 있는데 이를 단계적으로 완화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며 “완구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펄프·플라스틱·금속 등은 대부분 재활용되고 있는데 이에 분담금을 매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완구업체들은 매년 평균 1.000만원의 폐기물분담금을 부담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7,000만원 이상을 내는 곳도 있다. 불필요한 규제로 완구업체들의 비용부담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소 이사장은 “완구는 7대 중금속만 조사해도 별다른 해가 없는데 환경 관련 규제가 너무 늘었다”며 “완구를 폐기물로 분류해 분담금을 부과하는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매출 10억원 미만의 기업은 분담금을 면제받지만 완구제품을 수입하는 업체들도 고스란히 분담금을 내고 있다.

관련기사



완구산업의 적신호는 통계 자료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한 해 수출은 8,000만~9,000만달러에 그치고 있지만 수입은 7억달러를 웃돈다. 수입이 수출보다 9배 가량 많은 대표적인 ‘무역역조’ 산업이다.

소 이사장은 “지난 90년대 완구 수출은 11억달러를 넘었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80%에 달했는데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됐다”면서 “중국의 저가제품과 일본의 고급제품이 들어오면서 경쟁력을 상실했고 생산기지도 인도네시아·인도·방글라데시 등 동남아로 이전됐다”고 말했다. 주요 수입국을 보면 중국이 5억달러로 가장 많고 유럽연합(EU) 1억달러, 미국과 일본이 각각 3,000만달러 등이다.

제품 인증비용도 부담이다. 소 이사장은 “똑 같은 재질과 기능을 가진 제품을 개발할 때마다 매번 100만~130만원의 인증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며 “제품 재질이나 화학성분에 차이가 없이 단지 모델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는 비용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소 이사장은 불합리한 유통구조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 이사장은 “백화점·마트·할인점에 입점한 대부분의 완구 업체들이 30% 이상의 수수료율을 안고 있는데다 판매장려금 명목으로 매출의 2.5%를 추가로 부담하고 있다”며 “업체들의 연구개발 여력이 떨어지고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