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협치' 강조한 朴대통령..."국정운영 동반자로 국회 존중"

[20대 국회 개원 연설]

여야 3당 대표회담 정례화

민생법안 처리 협조 요청

대북 압박 지속도 재확인

입퇴장때 여야 모두 기립

연설중 21차례 박수 나와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20대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이호재기자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20대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국회 본회장에서 제20대 국회 개원 축하 연설을 마친 뒤 까치발로 서서 손을 내밀어 정세균 국회의장과 악수하고 있다. /이호재기자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국회 본회장에서 제20대 국회 개원 축하 연설을 마친 뒤 까치발로 서서 손을 내밀어 정세균 국회의장과 악수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국회 본회장에서 연설하는 도중 모두 24회의 박수가 나왔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는 연설 중 가끔 박수를 쳤고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박수는 자제하고 연설을 듣는 데 집중했다. /이호재기자박근혜 대통령이 13일 국회 본회장에서 연설하는 도중 모두 24회의 박수가 나왔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는 연설 중 가끔 박수를 쳤고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박수는 자제하고 연설을 듣는 데 집중했다. /이호재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20대 국회 개원 연설을 마친 뒤 기립한 의원들과 악수하며 본회의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호재기자박근혜 대통령이 13일 20대 국회 개원 연설을 마친 뒤 기립한 의원들과 악수하며 본회의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호재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20대 국회 개원 축하 연설에서 협치(協治) 의지를 거듭 나타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이 20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화합’과 ‘협치’였다”면서 “앞으로 3당 대표와의 회담을 정례화하고 국정운영의 동반자로서 국회를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박 대통령은 “20대 국회에서는 민생 직결 법안들이 좀 더 일찍 통과돼 국민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도움을 청했다. 여소야대의 상황에서 국회의 협조 없이는 국정과제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진솔하게 도움을 당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경제 분야에서는 산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에 따른 실업 등 후유증에 대한 우려를 표시했다. 특히 실업대책을 위해 노동 4법이 패키지로 처리돼야 한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은 또 “구조조정은 기업과 채권단이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면서도 “누적돼 곪아 있는 환부를 도려내야 (구조조정이)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조선업 구조조정 논의 과정에서 드러난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 등의 모럴 해저드를 일소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어 박 대통령은 “신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선진경제로 도약하는 핵심 열쇠는 규제개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경제정책의 큰 기조가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에 있음을 재확인하고 이를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북한과 당분간 대화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비핵화 없는 (북한의) 대화 제의는 국면 전환을 위한 기만”이라면서 “성급히 ‘대화를 위한 대화’에 나서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모멘텀을 놓친다면 비핵화의 길은 더욱 멀어질 뿐”이라고 단언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에 따라 대북 대화 채널이 조기에 열릴 가능성은 낮아졌다.

끝으로 박 대통령은 20대 의원들에게 “‘취임사는 꿈으로 쓰고 퇴임사는 발자취로 쓴다’고 했다”면서 “초심이 임기 말까지 이어져 헌정사에 큰 족적을 남기는 활동을 펼쳐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여야 의원들은 박 대통령이 본회의장에 입장하고 퇴장할 때 모두 기립해 손뼉을 쳤으며 연설 중에는 모두 21차례의 박수가 나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