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신동빈도 '평창의 저주?'

동계올림픽 적극 지원 총수들 잇따라 위기

"올림픽 명분 고비 넘던 과거공식 안통할 것"

최근 검찰 수사로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는 롯데그룹과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한진그룹의 공통점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것이다. 재계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의 저주(?)’라는 말이 나돌 정도다.

먼저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 5월4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장 자리에서 전격 사퇴했다. 2014년 7월 조직위원장을 맡은 지 1년10개월 만에 벌어진 일이다.


당시 재계에서는 조 회장의 사퇴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조 회장이 평창 이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에 도전해보겠다는 의사를 밝힐 정도로 성공적인 개최에 큰 열의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그는 평창 출장이 잦아지면서 차량을 세단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랜드로버로 바꾸는가 하면 유치위원장 역임 기간에 총 34차례의 출장을 소화할 정도로 강행군을 거듭했다.

관련기사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한진해운이 자율협약을 신청한 지 열흘 만에 조직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난 데 주목해야 한다”며 “한진해운부터 살리라는 정부의 압력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역시 평창동계올림픽에 애착을 보여온 총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신 회장은 6세 때부터 스키를 타기 시작해 대학 때는 선수로도 활약했을 정도로 동계스포츠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다. 그는 2014년 11월 스키협회장에 취임했고 올 3월에는 평창동계올림픽 등에 총 600억원을 지원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 정도 지원금액은 올림픽 공식 파트너사 수준이다.

재계의 다른 관계자는 “과거에는 총수가 죄를 저지른 뒤 올림픽 유치 등을 명분으로 복권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앞으로는 이런 ‘공식’이 적용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