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민정경찰, 한강하구서 불법조업 中어선 2척 나포…해경에 인계

합참 “오후 7시 10분께 나포”…작전 개시 나흘 만에 첫 사례

나포 선박 선원 14명 격렬 저항…한중 외교갈등 비화 우려

11일 오전 인천시 강화군 서검도 인근 해상에서 우리 군과 해경, 유엔군사령부로 구성된 ‘민정경찰(Military Police)’들이 고속단정(RIB)을 타고 불법조업 중국어선을 단속하고자 한강하구 중립수역으로 향하고 있다. /인천=연합뉴스11일 오전 인천시 강화군 서검도 인근 해상에서 우리 군과 해경, 유엔군사령부로 구성된 ‘민정경찰(Military Police)’들이 고속단정(RIB)을 타고 불법조업 중국어선을 단속하고자 한강하구 중립수역으로 향하고 있다. /인천=연합뉴스




한강 하구 수역에서 중국 어선 퇴거작전을 진행 중인 민정경찰이 작전 개시 나흘 만인 14일 이곳에서 불법 조업을 하던 중국 어선 2척을 나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민정경찰이 오늘 오후 7시 10분께 한강 하구 중립수역에서 불법 조업 중인 중국 어선 2척을 나포해 해경에 인계했다”고 밝혔다.

민정경찰이 지난 10일 한강 하구 수역에서 중국 어선 퇴거작전을 시작한 이후 중국 어선을 나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정경찰에 나포된 중국 어선 2척에는 모두 14명의 선원들이 타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나포 당시 민정경찰을 향해 어구 등을 던지며 격렬하게 저항했다.

민정경찰은 경고방송으로 중국 어선의 자진 철수를 유도하려고 했으나 이들이 응하지 않고 위협적인 행동을 하자 어선에 뛰어올라 나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어선 나포 과정에서 민정경찰은 사격을 하지는 않았다. 군과 해경,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군정위)로 구성된 민정경찰은 K-2 소총과 K-5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민정경찰이 중국 어선 2척을 나포할 때 민정경찰의 고속단정(RIB)에는 군정위 요원이 탑승해 정전협정 위반 여부를 감시했다.

한강 하구 수역에서는 이날 낮 중국 어선들이 민정경찰의 퇴거작전에 쫓겨 모두 수역을 빠져나갔으나 오후 6시 50분께 일부 중국 어선 8척이 수역으로 다시 진입했다.

이들 가운데 2척이 민정경찰에 나포된 것이다. 나머지 중국 어선 6척은 한강 하구 수역을 빠져나간 것으로 파악됐다.

민정경찰이 중국 어선을 나포함에 따라 일각에서는 민정경찰의 퇴거작전이 한중 양국간 외교적 갈등으로 비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 정부는 지난 10일 민정경찰의 중국 어선 퇴거작전에 대해 “중국은 어민 교육 강화를 고도로 중시한다”며 “관련 국가와 어업 집법(활동)에 관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정상적인 어업 질서를 수호하기를 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중립수역인 한강 하구 수역에 민정경찰을 투입한 것은 6·25 전쟁을 중단한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처음이다.

합참은 “우리 군은 한강 하구 중립수역에서 중국 어선이 철수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단속작전을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co.kr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