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서울경제TV] 은행권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 재테크 ‘비상’

‘참 착한 기업통장’ 금리 연 0.01%로 떨어져

세금 15.4%·물가상승률 1.0% 빼면 마이너스

신용연계DLS, 원금보존ELB, 투자신탁상품등 추천





[앵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린 여파로 은행권의 수신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실질적으로 마이너스 금리 시대가 도래했는데요. 은행에 돈을 오래 두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셈이 돼 투자처를 다양하게 넓히라는 조언이 나옵니다. 양한나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씨티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예금인 ‘참 착한 기업통장’의 명목금리가 예금액 1,000만원 이하 기준 연 0.1%에서 연 0.01%로 0.09%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연이자가 0.01%이지만 15.4%에 달하는 세금을 떼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습니다.

이 통장에 1,000만 원을 넣어둘 경우 1년간 받을 수 있는 이자는 단돈 1,000원. 여기에 세금을 떼고 나면 결국 846원의 이자를 챙길 수 있는데 1.0% 수준인 물가상승률까지 빼면 결국 금리는 마이너스가 됩니다.

은행에 돈을 가만히 두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것입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수시입출금 통장에 돈을 맡기기 보다 투자처를 다양하게 바라보라고 조언합니다.

관련기사



[인터뷰] 이주하 / KB국민은행 명동스타PB센터 팀장

“정기예금에만 투자해 온 투자자라면 비교적 안정적인 공기업의 신용연계 DLS상품 또는 원금보존추구형 ELB상품에 관심을 가져볼만 합니다. 적극적인 성향의 투자자라면 장기 성과가 우수했던 투자신탁 상품의 분산투자도 권하고 있습니다.”

최근 주목을 받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 등 절세형 금융상품이나 예금금리에 플러스 알파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채권혼합형 펀드도 추천 대상입니다.

시중은행이 출시한 연 1~2% 수준의 예ㆍ적금에 넣어 놓는 것도 방법입니다.

KEB하나은행의 ‘오필승코리아 예적금’의 금리는 예금은 연 1.6%, 적금은 2.0% 수준입니다.

우리은행의 온라인전용 위비톡예금 역시 우대금리를 포함해 연 2.1%의 금리를 보장합니다.

전문가들은 또 우리나라 가계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의 균형점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서울경제TV 양한나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