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대, 학종 '금수저 전형' 편견에 반박

서울대학교가 학생부종합전형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세간의 우려에 대해 반박했다./ 출처=서울대학교 홈페이지서울대학교가 학생부종합전형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세간의 우려에 대해 반박했다./ 출처=서울대학교 홈페이지


서울대학교가 학생부종합전형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세간의 우려에 대해 반박하고 나섰다.

권오현 서울대 입학본부장은 지난 15일 성동구 한양대 백남음악관에서 열린 ‘학생부종합전형 발전을 위한 제1회 고교-대학 연계 포럼’에서 “서울대학교는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를 평가할 때 학교생활기록부를 유일한 평가 서류로 삼는다”고 밝혔다.


권 본부장은 이날 발표에서 “자기소개서만으로는 서울대학교에 합격할 수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 “학교생활기록부가 유일한 평가서류이고, 자기소개서나 추천서, 프로필 등은 참고자료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자기소개서는 평가서류가 아니기 때문에 자소서 컨설팅은 입시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학부모나 교육시민단체가 ‘학생부종합전형은 사교육 시장 확대를 유발한다’고 비판한 것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된다.


권 본부장은 “학생부종합전형은 교실에서 얼마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하는지, 토론을 지속하며 스스로를 계발해 나갈 내적 근력이 있는지를 학교생활기록부를 통해 평가하는 전형”이라며 “서울대는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총 5단계의 ‘다인 다단계 평가 시스템’을 구축해 놓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소논문 등 비교과 항목을 요구해서 학생에게 부담을 준다거나, 평가과정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외부의 지적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의혹을 일축했다.

이날 권 본부장은 2016학년도 서울대 입학생 전형별 학교 유형 비율을 공개하기도 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전체 입학생 가운데 일반고 출신은 49.7%, 자율고는 23.0%, 특목고는 26.1%, 기타 1.1%였으며 지난해는 일반고 50.1%, 자율고 21.1%, 특목고 27.5%, 기타 1.4%였다.

올해 지역균형 전형은 일반고 85.9%, 자율고 14.1%의 비율이었고 일반전형은 일반고 35.9%, 자율고 19.5%, 특목고 42.9%, 기타 1.7%였다. 정시는 일반고 47.5%, 자율고 36.3%, 특목고 15.8%, 기타 0.4% 비율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권 본부장은 “수시에서 영재고나 과학고 출신 비율은 3년간 줄었고 일반고 비율은 늘었다”며 “학생부종합전형이 부모의 경제력에 좌우돼 ‘금수저 전형’이라는 얘기나 특목고, 자사고, 강남 지역 학교들이 유리하다는 얘기는 그저 편견”이라고 전했다.

/주현정인턴기자 hyunjeong1014@sedaily.com

주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